내용이 조금씩 어려워진다. 그런데 그 보다 받아 들이기 어려운 점은 내가 이 부분들을 마치 처음 읽는 것 같은 생경함에 있는 것 같다. 그래서 번역을 하다 말고 섬찟해지기도 한다. 기도 차고;;;

 

 

So here (1) we have an interesting contrast between act utilitarianism on the one hand, and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on the other. The latter look as though they are bound to land us with a huge problem about how we can know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for whatever either says, we can ask ‘But how do we know which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the correct ones, which character traits are the virtues?’ (2)If they each just produce their list we can worry (whether it is the right list) we can worry whether it is the right list. If they produce one of their abstract tests we can worry about the fact that, with sufficient ingenuity, or different further premises, these can be got to yield different results.

 

(1)    은 은근히 결단력을 요구하는 문장이었다. 얼핏, -와 같이 대조를 해 볼 수 있다로 보였지만, 그 뜻은 아닌 듯하고, 위와 같은 흐름을 따라 그 세 이론이 그런 식으로 대조된다는 것을 본다. 그게 우리 눈 앞에 놓여 있어서 그걸 우리가 가지게 되었다. 그 의미로 봤다. 마지막을 그래서 본문처럼 골랐다. 우리는 observe 하는 주체고 그 차이는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이다, 그런 식으로. Contrast 도 대조라고 했다가 나중에 차이로 고쳤다. 더 자연스럽다고 생각하는데...

 

 

(2)    이전에 abstract test(s) 를 개념상의, 이론적인이라고 했는데, 이 문장의 대구를 보니 하나하나 덕과 규칙을 열거한 (실질적인 또는 구체적인) 목록 vs. 추상적인 개념상의 실험 이것이 더 뜻이 맞는 번역인 것 같다. 그러나 내용 자체는 밑줄 친 부분과 그 아래 문장이 잘 연결이 되어 이해되지 못해서 마음에 걸린다. with sufficient ingenuity- premises 부분은 막 보고서는 양보구로 그러다 곧 바꾸었다. 어떤 것이 개념적으로 더욱 보충된 (고차원의) 어떤 것을 놓고 본다면, 앞서 실제의 예들을 놓고 볼 때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그 말을 상대주의에 빠질 위험으로 끌고가는 문장 그렇게 봤다. 그래서 with 를 양보구가 아니라 갖춘 이라는 의미를 설명하는 구절로 옮겼다.

 

Act utilitarianism is not, or not immediately, open to the same threat. True, it may be hard, on occasion, to predict the consequences of an action,(3) but this is a practical problem in life which all three accounts have to take on board. Though it is sometimes said that deontologists ‘take no account of consequences’, this is manifestly false, for many actions we deliberate about only fall under rules or principles when we bring in their predicted consequences.

 

(3) take on board 는 처음 읽은 대로 했었다면 오역이었을 것이다. 나는 저 문장을 세 이론이 이론으로서 감수해야 하는 삶;;; 이렇게 봤다. 몇 번 다시 읽다가 특히 아래에 general problem in life 란 말이 나오면서 그게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사로 해야 할 것 같았다. 사전을 찾고 비슷한 문장들을 보다가 그 부분이 solve take an account of have an idea of  라야 더 맞다는 걸 알았다.

 

(4) I think that one might well press something along these lines as a problem for utilitarianism, and this is a point to which I shall return below. (5) But it is hardly plausible to say it shows that act utilitarianism is immediately open to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and skepticism. Suppose people’s ideas of happiness do vary; why should that matter, for practical purposes? This person will be happy if I give her a book on the religious contemplation and upset if I give her a sexy novel, someone else will delight in the novel but be bored to tears by the other. If I can afford both books, act utilitarianism makes it perfectly clear what I should do, without having to define happiness or worry about the fact that these two people doubtless have very different ideas of it. (6)As Jonathan Glover robustly remarks, ‘most of us, whether utilitarians or not, take some account of the likely effects of our actions on people’s happiness, and we should all be in a mess if there was no correspondence between trying to make someone happier and succeeding.

 

(3)    는 이번 번역에서 제일 애를 먹은 문장이었다. 말로는 풀리지만 문장으로 떨어지지 않는 전형적인 문장. 여기서 다시 한 번 생각하지만, 번역은 우리말을 잘 알고, 잘 쓰는 사람이 할 일인 것 같다. 스스로 우리 말을 다루는데 즐거움을 느끼고 또 어느 정도 정확히 알고 있다고 생각이 될 때, 마찬가지로 유려한 번역 이전에 외국어 용어나 문장 구조를 나름대로 파악할 줄 안다고 생각될 때, 그 뒤에 해 보는 일이 번역일 때 더 좋을 것 같다. 조금 더 써 본다면..나는 번역을 위한 번역이고 독서를 위한 독서고, 그렇게 나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 내 눈에는 각각은 각기 집중해야 할 길이 다르고, 각기 더 높은 효과를 볼 방도도 다르다고 생각한다. 간단히 말하면, 나는 독서는 토론과 질의응답을 통해 가장 도움을 받을 거라고 생각하고, 번역은 우리말 쓰기 단련, 외국어 실력 단련 배경지식의 깊이 등으로 좋아질 거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둘 다, 두 가지 모두 왜 그 책인가, 왜 그 부분인가라는 동기의 문제가 매우 중요하리라고 생각한다. 뭔가 잘못되어서, (4) 인데 (3) 으로 찍혔다. 아무튼 저 문장은 우선은 may well –해도 당연하다 하겠다의 의미고, press something as 는 찾기가 애먹었고 잘 못 찾아서, -라고 정형화하다 formatting 하다 그 뜻인 듯 한데 가물가물 우리 말로 잘 잡히지 않았다. Along the line 그 연장선상에서정도로 다가 왔지만 정확하지 못했다. 여러 번 말이 꼬였다.

 

(4)    반복인지 모르겠으나, 저자를 따라 가다 보니 그가 숙어도 많이 사용하는 편이고, 좀 비공식적인 톤의 글 스타일이 있고, 말을 길게 풀고 그런 편이라는 점을 알겠다.

 

 

(5)    이 문장의 경우 내가 이해를 잘 못해서 그런지 남을 위해 노력하는 것‘succeeding’ 에서의 그 succeeding 이 말 그대로 성공이라 해얄지, 그 결과라로 해얄지가 단박에 느껴지지 않았다. 직감적으로는 그런 노력의 결과로 봐야 할 것 같았었지만.

 

So let us say, for the moment, that act utilitarianism is not immediately threatened by the spectre of moral relativism or skepticism but that virtue ethics, in company with deontology, is. And, (7)having said it and acknowledged the problem, let us put it on one side for later chapters. For the moment I shall assume that bo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give an open-ended, and familiar, list in their second premises. Deontology, we may suppose, lists such familiar rules as ‘Do not kill’, ‘Tell the truth’, ‘Keep promises’, ‘Do no evil or harm to others’, ‘Help others/promote their well-being’, etc.; virtue ethics lists such familiar character traits as justice, honesty, charity, courage, practical wisdom, generosity, loyalty, etc. And, having assumed that, we can return to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e ethics, even given such a list, somehow fails to provide guidance in the way that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7) 밑줄 친 두 부분 모두 양보라던가 원인 동명사구를 상정하지 않고, 그러므로 그리고 정도로 받았다.

 



[1] J. Glover, Causing Death and Saving Lives, 3.

[2] Indeed, given the size of the problem one might say ‘for a later book’. But I do return to it in Chapters 8-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