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one might specify the ‘best consequences’ as those in which the number of Roman Catholic was maximized (and the number of non-Catholics minimized). It would be a very odd view to hold; no proper Catholic could hold it, but some madman brought up in the Catholic faith might. Or someone might specify the ‘best consequences’ as those in which certain moral rules were adhered to. ‘We all have some idea of what best consequences might be’, not because this is given in the first premise of the act utilitarian account, but because we are all familiar with the idea that, by and large, if an action has, as a consequence, that many people are made happy, or much suffering is relieved, this counts as a good consequence.

 

누군가는 로마 카톨릭 신자의 수가 최대화되는 (그래서 -로마 카톨릭 신자수가 최소화 되는) 것이 최선의 결과라고 정의할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것은 매우 이상한 관점이다. 진정한 카톨릭 신자라면 어느 누구도 그런 생각을 없겠으나, 카톨릭의 교리 안에서 자란 광인은 그럴 있을 지도 모른다. 아니면, 누군가는 특정한 도덕 규칙이 고수되는 결과를 최선의 결과라고 정의할 있다. ‘우리 모두는 무엇이 최선의 결론인가에 관해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그런 개념이 행위 공리주의의 번째 전제 안에서 주어져서 그런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만약 어떤 행위가 결과적으로 사람들을 행복하게 주거나 고통을 줄여 준다면 그것을 선한 결과로 간주한다 사고에 대체로 익숙하기 때문이다.    

 

                Similarly, when we read the deontologist’s first premise, we suppose that ‘we all have some idea of what correct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We expect (something like) ‘Do not kill’ and ‘Keep promises’. We do not expect ‘Purify the Aryan race’, ‘Keep women in their proper place, subordinate to men’, ‘Kill the infidel’. But we know only too well that these not only might be specified, but have been specified, as correct moral rules. As far as the first premise of the deontological account of right action goes, we do not, in fact, have any idea, given by that premise, of what correct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we bring our own ideas to it.

 

그와 비슷하게, 의무론의 번째 전제를 읽을 경우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한다. ‘우리 모두에게는 무엇이 올바른 도덕적 규칙 또는 원칙인가에 관한 어떤 개념이 있다.’ 우리는 살인하지 말라그리고 약속을 지켜라 같은 것들을 예상한다. 우리는 아리안 인종을 정화시켜라’ ‘여성으로 하여금 남성에게 복종하는 본분을 지키게 하라’ ‘이교도를 처단하라 같은 것들을 예상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는 이런 것들이 옳은 도덕 규칙으로 정의될 있는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그렇게 정의되어 왔다는 사실 또한 너무나도 알고 있다. 옳은 행위에 관한 의무론의 번째 전제가 말하고 있는 내용에 관한 , 우리는 주어진 전제로부터는 사실상, 무엇이 옳은 도덕 규칙이며 원칙인가에 관해 아무런 생각도 떠올리지 않는다. 우리는 그것에 대해 우리 자신의 고유한 개념들을 떠올린다  

 

So, understood as a first premise comparable to those of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An action is right iff it is what a virtuous agent would, characteristically, do in the circumstances’, far from being a truism, is like the first premises of the others, uninformative. All three start to be informative only when the second premise is added.

 

그와 같이, ‘어떤 행위는 덕이 있는 행위자가 어떤 상황에서 그에게 있는 덕의 특성 대로 하는 행위인 경우에만 옳다 정의, 행위 공리주의와 의무론의 번째 전제에 비견되는 전제는 자명한 이치이기는 커녕, 다른 이론들의 번째 전제들 마찬가지로 정보를 담고 있지 않다. 이론 모두 번째 전제가 추가되었을 때라야만 무엇인가를 알려 주기 시작하는 것이다.       

 

 

 

  

 

 

 

EPISTEMOLOGICAL PROBLEMS

 

인식론적 문제들

 

            At this stage we may notice an interesting division in the three accounts, a division which puts act utilitarianism on one side, and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on the other. As soon as act utilitarianism produces its second premise, saying that the best consequences are those in which happiness is maximized, we seem to know where the act utilitarian stands. (I shall question below whether we really do, but we certainly seem to.) We can work out that the act utilitarian will say, for example, that it is right to tell a lie when telling the truth would make no one happy and someone very unhappy. But whether we know what a deontologist and a virtue ethicist will say about such a case after they have produced their second premises depends on the form they take.

 

                단계에서, 우리는 행위 공리주의를 쪽에, 의무론과 윤리학을 다른 쪽에 놓는 흥미로운 구분을 주목할 있을 것이다. 행위 공리주의가 최선의 결과란 행복이 최대화되는 결과라고 하는 번째 전제를 만들어 내자마자, 우리는 행위 공리주의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아는 것처럼 보인다. (아래에서 나는 우리가 정말로 그런지를 의문할 것이나, 확실히 우리는 그런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행위 공리주의가, 예를 들어, 진실을 말하는 것이 누구도 행복하게 주지 못하면서 누군가를 몹시 불행하게 만든다면 거짓을 말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게 되리라는 것을 생각해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 의무론과 윤리학이 번째 전제를 제시한 어떤 주장을 것인지를 우리가 알고 있느냐의 여부는 그들 이론이 어떤 형식을 취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If a list of correct moral rules or virtues is given, we have something fairly concrete. If one list contains ‘Do not lie’ and the other ‘Honesty’, we can work out that the deontologist and virtue ethicist are probably not going to agree with the act utilitarian about the rightness of telling the lie. But what if the deontologist’s second premise is one of the others I gave? We all know that there has been, and is, much dispute about what God has laid down, and about what it is rational to accept, and so on—in short, much dispute about which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the correct ones. When a deontologist produces one of her abstract tests for the correctness of a moral rule, we may be sure that she will defend and justify the rules she believes are correct in terms of it—but what these will be we do not know. Will she defend rules prohibiting suicide or abortion or rules permitting them? Will she turn out to be a pacifist or a supporter of killing in self-defense? We do not know.  

 

                만일 옳은 도덕 규칙이나 덕의 목록이 주어진다면, 구체적인 생각이 가능하다. 하나의 목록은 거짓말 하지 말라, 다른 하나는 정직 포함하고 있다면, 우리는 의무론자와 윤리학자가 거짓말하는 행위의 옳음에 관한 행위 공리주의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으리라는 결론을 내려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의무론의 번째 전제가 내가 제시한 다른 것의 하나라면 어떻게 되는가?  우리 모두는 신이 명한 것이 무엇인가, 무엇을 받아 들여야 합리적인가 기타 등등에 관해 많은 논쟁이 있어 왔고 그것은 지금도 그렇다는 , 간단히 말해 어떤 도덕 규범이나 원칙이 옳은가를 둘러싼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지금도 그렇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의무론자가 도덕적 규칙이나 원리의 옳음을 검증하기 위해 이론적 실험 하나를 벌이려 , 우리는 그가 자신이 옳다고 믿고 있는 규칙을 옹호하고 정당화시킬 것이라는 점은 확신할 있다. 그러나 규칙들이 어떤 것들이 것인지에 관해서는 우리는 아는 것이 없다. 그는 자살이나 낙태를 금지하는 규칙을 옹호할 것인가 아니면 허용하는 규칙을 옹호할 것인가? 그는 평화론자가 것인가, 아니면 자기방어에 의한 살인을 지지하는 옹호자가 것인가? 우리는 알지 못한다.   

 

Virtue ethics is similarly non-committal. We all know, it is said, that there has been, and is, much dispute about which character traits are the virtues. When a virtue ethicist produces one of her abstract tests, we may be sure that she will defend the character traits she believes are the virtues in terms of it, and dismiss the ones she does not accept—but what these will be we do not know. Will she defend humanity, modesty, and compassion or (like Hume, Aristotle, and Nietzsche, respectively) will she dismiss them? Will she defend impartiality or friendship? We do not know.

 

윤리학도 그와 비슷하게 애매하다. 우리는, 말해지는 바대로, 어떤 성격적 특성이 덕인가에 관한 많은 논란이 있어 왔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윤리학자가 하나의 개념적인 실험을 하려고 , 우리는 그가 덕의 이름에 걸맞는 덕을 옹호하고, 그가 인정하지 못하는 것들은 버리리라는 점은 확신할 있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들이 어떤 것이 지는 우리는 모르는 바이다. 그는(각각 ,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니체처럼) 인류애, 중용, 그리고 동정을 옹호할 것인가 아니면 폐기 처분할 것인가? 그는 공평성을 지지할 것인가, 아니면 우정을 지지할 것인가? 우리는 알지 못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