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RAL RULES 

도덕 규칙들

 

A common objection goes as follows.

일반적인 반대 논거는 다음과 같다.

 

Deontology gives a set of clear prescriptions which are readily applicable. But virtue ethics yields only the prescription, ‘Do what the virtuous agent—the one who is just, honest, charitable etc.—would do in these circumstances.’ And this gives me no guidance unless I am (and know I am) a virtuous agent myself—in which case I am hardly in need of it. If I am less than fully virtuous, I shall have no idea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and hence cannot apply the only prescription virtue ethics has given me. True, act utilitarianism also yield only a single prescription (‘Do what maximizes happiness’), but there are no parallel difficulties in applying that; it too is readily applicable. So there is the way in which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fails to be action guiding where deontology and utilitarianism succeed.  

           

의무론은 즉시 적용이 가능한 일련의 명령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윤리학은 기껏해야 덕이 있는 행위자 정의롭고, 정직하고, 자비로운, 기타 등등인 사람- 이러한 상황에 놓였을 하는 행위를 하라 규칙을 뿐이다. 그리고, 이것은 자신이 덕이 있는 사람이지 않는 (그리고 내가 그렇다는 것을 알고 있지 않는 ) –그런 경우 나에게는 행위지침이란 것이 거의 필요 없다-나에게 아무런 도움도 주지 않는다. 만일 내가 완전한 덕을 지닌 사람에 미치지 못한다면, 나는 덕이 있는 사람이 무엇을 알지 못하고, 그렇기 때문에, 윤리학이 유일한 처방을 적용시킬 없다. 맞는 말이다. 행위 공리주의 또한 단일 명령을 놓는다.  (‘행복을 극대화시키는 것을 하라’), 그러나  그것의 적용에는 이와 유사한 아무런 난점도 없다. 그것은 너무나도 용이하게 적용될 . 그와 같이, 의무론과 공리주의를 통해서는 가능하나,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적 해석으로는 행위 지침의 제시가 달성되기 어려운 점이 있다.   

 

            In response, it is worth pointing out that, if I know that I am far from perfect, and am quite unclear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in the circumstances in which I find myself, the obvious thing to do is to go and ask one, should this be possible. This is far from being a trivial point, for it gives a straightforward explanation of an important aspect of our moral life, namely the fact that we do not always act as ‘autonomous’, utterly self-determining agents, but quite often seek moral guidance from people we think are morally better than ourselves. When I am looking for an excuse to do something I have a horrid suspicion is wrong. I ask my moral inferiors (or peers if I am bad enough), ‘Wouldn’t you do such-and-such’ if you were in my shoes?’ But when I am anxious to do what is right, and do not see my way clear, I go to people I respect and admire: people who I think are kinder, more honest, more just, wiser, than I am myself, and ask them what they would do in my circumstances.  How, or indeed whether,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can explain this fact, I do now know, but, as I said, the explanation within the terms of virtue ethics is straightforward. If you want to do what is right, and doing what is right is doing what the virtuous agent would do in the circumsances,then you should find out what she would do if you do not already know.

 

            그에 대한 대응으로서 다음을 지적해 보는 것이 의미 있는 일이겠다. 만일 내가 완벽과는 거리가 사람이고, 덕이 있는 사람이 내가 처한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지가 분명하지 않다면, 그때 내가 해야 분명한 일은, 만일 그것이 가능하다면, 가서 누군가에게 묻는 것이다. 지금 이것은 전혀 사소한 지적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사실, 다시 말해, 우리는 항상자율적으로,’ 완전하게 자기-결정적인 행위자로서 행동하지 않으며, 매우 자주 우리 자신 보다 도덕적으로 뛰어난 사람들에게서 도덕적인 조언을 받고자 한다는 사실이 우리의 도덕적 삶이 갖는 중요한 단면을 명쾌하게 설명해 보이기 때문이다. 내가 만일 잘못된 일이라는 꺼림직한 의구심이 드는 행동을 하기 전에 그럴듯한 핑계를 찾고 있다면, 나는 도덕적으로 나보다 못한 (또는, 만약 내가 충분히 나쁜 사람이라면 나와 비슷한 무리들) 사람을 찾아가 만일 네가 처지에 있다면 이렇게, 아니면 저렇게 하지 않겠니?’ 라고 물을 것이다. 그러나 만일 내가 옳은 일을 하고자 한다면, 그러나 길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는다면, 나는 존경하고 경탄하게 되는 사람, 자신 보다 친절하며, 더욱 정직하고, 정의롭고, 더욱 현명한 사람이라고 여기는 사람에게 가서, 만일 그가 나의 경우라면 어떻게 하겠는지를 물을 것이다.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이런 사실을 어떻게 설명하려는지, 아니면 실제로 그럴 있을 것인지에 나로서는 없으나, 내가 이미 말한 대로, 윤리학의 용어로는 분명하게 설명된다.  만약 당신이 옳은 일을 하고 싶다면, 그리고 옳은 일을 한다는 것은 있는 행위자가 상황에서 하는 일을 하는 것이라면, 그렇다면 당신은 반드시, 만약 이미 알고 있는 바가 아닐 경우, 사람이 무엇을 것인지를 알고 있어야만 한다.      

 

 

 

 

Moreover, seeking advice from virtuous people is not the only thing an imperfect agent trying to apply the ‘single prescription’ of virtue ethics can do. For it is simply false that, in general, ‘if I am less than fully virtuous, then I shall have no idea what a virtuous agent would do’, as the objection claims. Recall that we are assuming that the virtues have been enumerated as, say, honesty, charity, fidelity, etc. So, ex hypothesi, a virtuous agent is one who is honest, charitable, true to her word, etc. So what she characteristically does is what is honest, charitable, true to her word, etc. and not what would be dishonest, uncharitable, untrue to her word. So, given such an enumeration of the virtues, I may well have a perfectly good idea of what the virtuous person would do in my circumstances, despite my own imperfection. Would she lie in her teeth to acquire an unmerited advantage? No, for that would be both dishonest and unjust. Would she help the wounded stranger by the roadside even though he had no right to her help, or pass by on the other side? The former, for that is charitable and the latter callous. Might she keep a death-bed promise even though living people would benefit from its being broken? Yes, for she is true to her word. And so on[1].

 

더욱이, 덕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조언을 구하는 일은 불완전한 행위자가 윤리학의 단일 처방 적용하려고 노력할 있는 유일한 일이 아니다.  왜냐하면, 대체로, 반대자들이 주장하는 , 만약 내가 완전한 덕을 지닌 사람에 미치는 부족한 사람이라면, 나는 있는 사람이 어떤 행동을 알지 못한다 말은 전혀 맞지 않는 주장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는 덕들, 다시 말해, 정직, 자선, 충실함 등등의 덕이 열거되었다고 가정하고 있는 중임을 잊지 말자. 그래서, 가설상, 덕이 있는 행위자는 정직하고 자비로우며 자기가 말에 일관되게 행동하는 행위자이다. 그래서 그가 그의 그런 특징 대로 하는 일은 정직하고 자비롭고 일관된 것이요, 부정직하고 자비롭지 못하며 일관성 없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그렇게 열거된 덕이 있다는 전제 하에, 나는 당연하게도, 자신의 불완전함에도 불구하고, 덕이 있는 행위자가 처지라면 무엇을 것인가에 관해 완벽하게 좋은 생각을 떠올릴 있다. 사람은 부당한 이득을 취하기 위해 새빨간 거짓말을 할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부정직한데다 정의롭지 못한 일이니까. 사람의 도움을 받을 아무런 권리도 없는 어떤 사람이 상처를 입고 길가에 누워 있을 , 사람을 그를 도울까, 아니면 그대로 지나칠까? 전자다. 왜냐하면 전자는 자비롭고 후자는 잔인한 짓이니까. 사람은 그것을 깸으로써 사람들이 득을 있는데도 임종의 약속을 지킬 있을까? 그렇다. 왜냐하면 사람은 자신의 말에 일관되게 행동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기타 등등

 

            This second response to the objection that virtue ethics’ account of right action fails to be action guiding amounts to a denial of the oft-repeated claim that ‘virtue ethics does not come up with any rules’ (which is another version of the thought that it is concerned with Being rather than Doing), and needs to be supplemented with rules. We can now see that it comes with a large number of rules. Not only does each virtue generate a prescription—do what is honest, charitable, generous—but each vice a prohibition—do not do what is dishonest, uncharitable, mean[2].

 

                번째 대응, 옳은 행위에 관한 윤리학의 해석은 행위 지침을 주지 못한다는 반론에 대한 이러한 대응은 거듭되는 다음의 주장, ‘ 윤리학은 어떠한 규칙도 만들어 내지 못한다’ ( 윤리학은 보다는 존재 관한 이론이라는 사고의 다른 형태), 그러므로 규칙들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에 대한 부정으로 있다. 우리는 이제 윤리학이 많은 규칙들을 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이해할 있다. 각각의 덕에서 하나의 규칙이 생겨날 아니라, -정직하고 자비롭고 너그러운 행동을 하라 악덕으로부터도 금지가 생성된다.  부정직하고 자비롭지 못하고, 야비한 행동을 하지 말라--   



[1] Cf. Anscombe: ‘It would be a great improvement if, instead of “morally wrong” one always named a genus such as “untruthful”, “unchaste” “unjust”…the answer  would sometimes be clear at once.’ ‘Modern Moral Philosophy’ (1958, repr.1981), 33참조. 앤스콤: 만일, “도덕적으로 틀린사람이 언제나 거짓말을 하는” “행실이 나쁜” “정의롭지 않은 유개념으로 이름붙여 진다면, 그것은 대단한 진일보일 것이다.

[2] Making this point in earlier articles, I expressed the generated rules adverbially –act honestly, charitably, generously; do not act dishonestly, etc. But the adverbs connote not only doing what the virtuous agent would do, but also doing it ‘in the way’ she would do it, which includes ‘for the same sort(s) of reasons(s)’, and it has seemed to me better here to separate out the issue of the virtuous agent’s reasons for a later chapter. 이전 논문에서 점을 지적하면서,  나는 생성된 규칙을 부사적으로 표현했다-정직하게, 자비롭게, 너그럽게 행동하라; 부정직하게 행동하지 말라 등등. 그런데, 부사들은 있는 사람이 무엇을 하는가(doing it)   아니라, 그가 행위를 어떤 으로 하는가 (in the way), 그와 같은 이유() 에서라는 의미를 담은 것도 또한 표기한다. 생각으로는 있는 행위자의 행위의 근거에 관한 주제는 다음의 장에서 다루기로 하고 분리시키는 것이 나은 같다.

 

 

 

 

Once this point about virtue ethics is grasped (and it is remarkable how often it is overlooked), can there remain any reasonable for thinking that virtue ethics cannot tell us what we should do? Yes, there is one. The reason given is, roughly, that rules such as

‘Do what is honest, do not do what is uncharitable’, are, like the rule ‘Do what the virtuous agent would do’, still the wrong sort of rule, still somehow doomed to fail to provide the action guidance supplied by the rules (or rule) of deontology and act utilitarianism.

 

            윤리학에 관련한 이런 점이 일단 이해되고 났는데도, ( 점이 얼마나 자주 간과되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윤리학이 우리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지 않는다는 견해에 어떤 타당한 근거가 남아 있을 있을까? 그렇다. 하나가 있다. 그것은 거칠게 말해 다음과 같은 주장이다. ‘정직한 행동을 하라, 자비롭지 않는 행동을 하지 말라 같은 규칙들은 있는 행위자가 하는 것을 행하라 같이, 여전히 잘못된 종류의 규칙이며, 여전히 일정 정도 의무론과 행위 공리주의의 규칙들 (혹은 규칙) 것과 같은 행위 규범의 제시에 실패할 운명에 처해 있다.

 

But how so? It is true that these rules of virtue ethics (henceforth ‘v-rules’) are couched in terms, or concepts, that are certainly ‘evaluative’ in some sense, or senses, of that difficult word. Is it this which dooms them to failure? Surely not, unless many forms of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fail for this reason too.

 

그러나 그런가? 이들 윤리학의 규칙들(이제부터는 -규칙들’ ‘v-rules’) 어떤 점에서 또는 어떤 점들에서 어느 정도 어려운 , ‘평가적용어나 개념들로 표현되는 것은 사실이다. 점이 규칙들을 실패의 운명이게 하는가? 여러 형태의 공리주의 이론들이 역시 이것을 이유로 실패하지 않는 , 분명코 그렇지 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