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here we have an interesting contrast between act utilitarianism on the one hand, and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on the other. The latter look as though they are bound to land us with a huge problem about how we can know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for whatever either says, we can ask ‘But how do we know which moral rules or principles are the correct ones, which character traits are the virtues?’ If they each just produce their list we can worry whether it is the right list. If they produce one of their abstract tests we can worry about the fact that, with sufficient ingenuity, or different further premises, these can be got to yield different results. So both lay themselves open to the threat of moral cultural relativism or, even worse, moral skepticism. Maybe we can do no more than list the rules, or character traits, accepted by our own culture or society and just have to accept that all we can know is what is right according to us, which might be wrong according to some other culture. Or, even worse, when we remember how much moral disagreement there is between ‘us’, maybe we cannot even do that. Maybe we have to accept that there isn’t anything that counts as knowing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all there is, is feeling convinced that it is because it is in accordance with a certain rule one personally wants to adhere to, or because it is what would be done by the sort of person one personally wants to be.

 

그런 식으로, 여기서 행위 공리주의를 편에 의무론과 윤리학을 다른 편에 놓는 흥미로운 차이가 나타난다. 후자의 견해는 우리에게 어떤 행동이 옳은지를 어떻게 있느냐는 크나큰 문제를 지우려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어느 하나가 무엇을 주장하건 간에, ‘그러나 어떤 도덕 규칙 또는 원칙이 옳은지, 어떤 성격적 특성이 덕이 되는지를 어떻게 있는가?’ 라는 의문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만일 그들 각각이 열거된 목록을 제시한 뿐이라면, 우리는 그것이 옳은 목록인지를 고려할 있을 것이다. 만일 그들이 우리가 사실을 검토할 있는, 충분한 정교함과 추가 전제를 갖춘, 추상적인 검증의 하나를 제시한다면, 이들은 다른 결과를 산출한다고 이해될 있을 것이다. 그렇게  fdms d..sksms 양자 모두에게는 도덕적 문화적 상대주의, 혹은 더욱 심하게는, 도덕적 회의주의에 빠지기 쉬운 가능성이 있다. 아마도 우리는 우리 고유의 문화나 사회가 수용하는 규칙이나 성격 특성을 열거할 있을 , 이상이 아닌지도 모르며, 우리가 있는 모든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옳은 것이요 다른 문화를 따르면 틀린 것일 있다는 사실을 받아 들여야만 할지도 모른다. 아니면, 보다 심한 경우, ‘우리라는 사이에 얼마나 많은 도덕적 불일치가 놓여 있는지를 상기한다면, 조차도 하지 못할 지도 모른다. 아마도 우리는, 어떤 행위가 옳다는 것을 안다고 말할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사실을 받아 들어야만 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모든 것은 확신의 느낌, 그것이 누군가가 개인적으로 지키려고 하는 특정한 규칙에 부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는, 또는 그것이 그가 개인적으로 그렇게 되고 싶어 하는 유형의 사람이 일이기 때문이라는, 확신의 감정이다.    

 

Act utilitarianism is not, or not immediately, open to the same threat. True, it may be hard, on occasion, to predict the consequences of an action, but this is a practical problem in life which all three accounts have to take on board. Though it is sometimes said that deontologists ‘take no account of consequences’, this is manifestly false, for many actions we deliberate about only fall under rules or principles when we bring in their predicted consequences. A deontological surgeon wondering whether she should perform a particular operation on a patient may be in doubt, not because she has any doubts about the correctness of her principles, but because it is so hard for her to predict whether the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will be that the patient enjoys several more years of life or is finished off. A surgeon who subscribes to virtue ethics has the same problem: she may not doubt that charity, which is concerned with others’ good, is a virtue; her doubt is over whether the consequences of the operation will be that her patient is benefited or harmed.      

 

행위 공리주의는 그러한 징조가 없거나, 있다고 하더라도 즉각적이지 않다. 맞다. 때때로 행위의 결과를 예측한다는 것은 어려울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이론 모두가 풀어 내야 하는 삶의 실천적인 문제이다. 때때로 의무론자들이 결과에 관해 아무런 견해도 취하지 않는다 주장이 있으나, 이것은 명백한 잘못이다. 왜냐하면 우리가 숙고하는 많은 행위는 우리가 그것의 예상된 결과를 감안하는 경우에만 규칙이나 원칙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의무론자인 어느 의사가 어떤 환자에게 어떤 수술을 집도해야 하는지의 여부를 놓고 생각 중일 , 그는 자기 원칙의 옳음이 의심스럽기 때문이 아니라, 수술이 환자에게 년의 삶을 누릴 있게 아니면 그대로 삶을 종결 짓게 결과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고민 중일 것이다. 윤리학을 옹호하는 외과의사도 같은 문제에 빠진다. 그는 타인의 선을 염려하는 자선이 덕임을 의심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그의 고민은 자신이 집도할 수술이 과연 환자를 이롭게 하는 것이 아니면 해롭게 하는 것이 지에 관한 숙고일 것이다.        

 

 

 

The difficulty of being able to predict the consequences of one’s actions does not bring with it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or moral skepticism; it is just a general problem in life. However, if the consequences concern happiness, as in the utilitarian account, doesn’t the threat come in there? Different cultures, different individuals, have different ideas of happiness. How can we know that a particular action is right if we cannot define precisely and correctly that ‘happiness’ we are supposed to be maximizing?

 

행위의 결과를 예측할 있음의 어려움이 도덕적 상대주의나 도덕적 회의주의의 위험을 초래하지는 않는다. 그것은 단지 삶의 일반적인 문제의 하나일 따름이다. 그러나, 공리주의 이론에서처럼, 만일 결과가 행복에 관여한다면, 거기에는 위험이 있지 않겠는가? 다른 문화, 다른 개인들은 서로 다른 행복에 관해 생각들을 가진다. 만약 우리가 최대화시켜야 한다는 행복 무엇인지를 정확하고 올바르게 정의할 없다면, 우리는 어떻게 어떤 행위가 옳다는 것을 있는가?

 

I think that one might well press something along these lines as a problem for utilitarianism, and this is a point to which I shall return below. But it is hardly plausible to say it shows that act utilitarianism is immediately open to the threat of moral relativism and skepticism. Suppose people’s ideas of happiness do vary; why should that matter, for practical purposes? This person will be happy if I give her a book on the religious contemplation and upset if I give her a sexy novel, someone else will delight in the novel but be bored to tears by the other. If I can afford both books, act utilitarianism makes it perfectly clear what I should do, without having to define happiness or worry about the fact that these two people doubtless have very different ideas of it. As Jonathan Glover robustly remarks, ‘most of us, whether utilitarians or not, take some account of the likely effects of our actions on people’s happiness, and we should all be in a mess if there was no correspondence between trying to make someone happier and succeeding[1].

 

누군가가 이러한 방식을 따라 어떤 점을 공리주의의 문제라고 역설한다면, 나는 그러는 것이 무리가 아니라고 생각하고, 점은 아래에서 되돌아가 논의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것이 행위 공리주의가 도덕적 상대주의와 회의주의에 빠질 즉각적인 가능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낸다고 말한다면 설득력이 거의 없는 주장이라 하겠다. 행복에 관한 사람들의 생각이 다양하다고 가정해 보자. 실천적인 목적에서 그것이 문제가 되어야 하는가? 사람은 만일 내가 그에게 종교적 명상에 관한 책을 준다면 행복해 하고, 성적인 소설을 건네면 당황할 것이다. 다른 사람은 야한 소설을 읽고 즐거움을 느끼지만, 나머지 소설은 읽는 동안 지루해서 눈물이 나올 지경일 있다. 만일 내가 권을 모두 제공할 있는 상황이라면, 행위 공리주의는, 행복을 정의해야만 하는 없이, 또는 사람의 행복에 관한 생각은 의심의 여지 없이 서로 다르다는 사실에 관한 고려 없이, 완벽하리만큼 분명하게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밝혀 것이다. 조나단 글로버 Jonathan Glover 확고하게 피력하고 있는 것처럼, ‘우리들 대부분 공리주의자건 아니건 우리의 행위가 사람들의 행복에 미칠 파장을 고려하며, 만일 누군가를 행복하게 주려는 노력과 그것의 달성이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틀림없이 혼란에 빠져 있을 것이다.    

 

So let us say, for the moment, that act utilitarianism is not immediately threatened by the spectre of moral relativism or skepticism but that virtue ethics, in company with deontology, is. And, having said it and acknowledged the problem, let us put it on one side for later chapters[2]. For the moment I shall assume that both deontology and virtue ethics give an open-ended, and familiar, list in their second premises. Deontology, we may suppose, lists such familiar rules as ‘Do not kill’, ‘Tell the truth’, ‘Keep promises’, ‘Do no evil or harm to others’, ‘Help others/promote their well-being’, etc.; virtue ethics lists such familiar character traits as justice, honesty, charity, courage, practical wisdom, generosity, loyalty, etc. And, having assumed that, we can return to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e ethics, even given such a list, somehow fails to provide guidance in the way that act utilitarianism and deontology do. 

 

그러므로, 당장은 행위 공리주의는 도덕적 상대주의나 회의주의의 망령에 즉각적으로 빠질 위험이 없으나 의무론과 함께 윤리학은 그렇다고 두자. 그리고, 그렇게 말했고 그런 문제를 인정하였으므로, 다음 ()에서 다룰 내용으로 놓아 두도록 하자. 나는 여기서 의무론과 윤리학이 그들의 번째 전제에서 나중의 여지가 있는, 그러면서 알려져 있는 하나의 목록을 제시했다고 가정하겠다. 우리가 예상할 있듯이, 의무론은 살인하지 말라’, ‘진실을 말하라’, ‘약속을 지켜라’, ‘남에게 나쁜 짓을 하거나 해를 입히지 말라’’남을 도와라/남을 복되게 하도록 애써라등의 익히 알려진 규칙들을, 윤리학은 정의로움, 정직함, 자선, 용기 있음, 실천적 지혜, 너그러움, 충실함 익숙한 성격적 특성들을 열거한다. 따라서, 점을 가정하면서, 윤리학이 그러한 목록이 주어진 경우에서조차 행위 공리주의와 의무론이 제시하는 식의 지침을 주지 못하는가를 묻는 문제로 되돌아 있다. 



[1] J. Glover, Causing Death and Saving Lives, 3.

[2] Indeed, given the size of the problem one might say ‘for a later book’. But I do return to it in Chapters 8-1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