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쪽의 초원 순난앵 ㅣ 마루벌의 새로운 동화 10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지음, 마리트 퇴른크비스트 그림, 김상열 옮김 / 마루벌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아이들 책 중에는 내용을 들여다보기도 전에 장정과 디자인만으로도 아름답다는 인상을 주는 책들이 자주 눈에 띈다. 이 책의 경우도 여기에 해당하는데, 연둣빛 초록의 시원하고 상쾌함이 앞뒤 겉표지를 온통 휘감고 있다. 안표지는 앞과 뒤가 전혀 분위기가 다른데 앞은 눈보라가 휘몰아치는 겨울에 잿빛 옷을 걸치고 몸을 한껏 웅크리며 걸어가는 어린 남매가 스산함을 안겨준다면, 뒤는 신록의 봄을 맞이하여 초록으로 옷을 갈아입은 숲속을 역시 눈에 확 띠는 가벼운 빨간 옷으로 갈아입은 남매가 손을 잡고 신나게 뛰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고아가 되어 의지할 곳이 없어진 어린 오누이, 이들의 노동력을 한껏 착취하고 인간다운 대우를 해주지 않은 이웃동네 농부. 동화에서 흔한 전형적인 구도라고 하겠다. 착한 어린이, 나쁜 어른. 대개 결말은 아이들은 행복하게 되고 어른은 벌을 받게 된다. 아, 이 작품은 좀 다르다. 농부는 아이들을 잃어버린 것 외에 별다른 손실이 없으니 말이다.
오누이의 고향 순난앵과 이웃 뮈라 마을은 전혀 상반되는 이미지의 고장으로 표현된다. 뮈라 마을 이야기를 할 때 삽화는 어둡고 무거운 분위기의 잿빛 톤으로 일관하고 있어 오누이의 고생담을 시각적으로 여실히 드러낸다. 그곳 사람들은 인상과 어투에서도 불친절과 비딱함을 보여준다. 반면 순난앵에서는 모든 것이 밝고 즐겁고 경쾌하다. 아이들은 구김살 없이 놀며 맛있는 음식도 배부르게 먹을 수 있다.
누구나 고달프고 힘든 때면 장밋빛 미래를 꿈꾸고 공상한다. 현실이 가혹할수록 공상의 나래는 더한층 강렬한 행복을 안겨준다. 아이들에게 순난앵 마을은 어릴 적 부모와 같이 살던 행복했던 시절을 연상시킨다. 매일같이 한겨울에도 허름한 의복에 과로한 노동에 시달리며 겨우 허기만 면할 정도의 열악한 생활에서 오누이는 탈출을 꿈꾼다. “사람들이 가난 때문에 어렵게 살던 시절”에 현실의 순난앵이 그렇게 천국과도 모습을 지닐 수는 없을 것이다.
<성냥팔이 소녀>의 마지막은 뭉클하면서도 처연하기 이를 데 없다. 소녀는 성냥불 속에서 환상을 통해 행복과 천국을 공상한다. 그것은 죽음에 이르는 유혹이지만 소녀로서는 어차피 매일반이다. 매서운 한겨울, 춥고 배고프고 지친 오누이는 앞으로 순난앵에 갈 수 없게 되자 영원히 순난앵에 머물기로 결심한다. 그들에게 뮈라 마을의 삶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그들의 행복은 순난앵에서 찾을 수 있다.
오누이를 이끄는 빨간 새는 깃털이 불꽃이 활활 타오르듯이 새빨갛고, 맑은 노래를 부르며 노래를 부르면 나무 가지에 쌓여있던 눈송이들이 꽃잎처럼 흩날린다. 불우한 오누이를 위로하는 동시에 현실이 아닌 다른 곳, 피안의 세계로 이끄는 영혼의 전령이자 안내자일 것이다.
빨간 새의 안내에 따라 순난앵을 오고가던 오누이는 마침내 두 마을을 연결하는 한번 닫히면 영원히 열리지 않는 문을 살그머니 닫는다. 이제 그들에게 암울했던 시절은 한갓 추억으로만 남게 되리라. 다행이다, 그들이 그나마 행복을 누릴 수 있게 되어서... 그곳이 어디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