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꿀벌 마야의 모험 ㅣ 비룡소 클래식 2
발데마르 본젤스 지음, 프란치스카 솅켈 그림, 박민수 옮김 / 비룡소 / 2003년 10월
평점 :
이 작품을 통해 작가가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우선 현상에 안주하지 않는 모험심과 도전정신,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끈기와 인내일 것이다. 꿀벌 마야는 안온하고 평안한 벌집의 세계를 벗어나 빛나고 아름다운 바깥 세상에 과감히 뛰어든다. 화려함 못지않게 무수히 드리운 위험과 모험의 세계. 꿀벌 마야는 다른 여러 곤충 친구들을 만나게 되고 거미줄에 걸려 하마터면 거미 테클라의 먹이가 될 뻔한 철렁한 순간을 겪기도 한다.
작가는 여기에서 약육강식의 자연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인정을 촉구하기도 한다. 생명은 자신의 삶을 보전하고 생식하기 위해 영양분을 필요로 하는데, 육식인 경우 누군가 타 생명체의 희생을 요구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입장에 따라 불가피하게 보거나 정반대로 매우 잔인한 처사로 비치기도 한다. 특히 희생자의 처지를 동정하거나 당사자가 그런 입장에 처하는 경우라면 특히 더할 것이다.
쇠파리 한스 크리스토프를 잡아먹는 잠자리 쉬누크에 대한 꿀벌의 충격과 비난은 곧바로 반박을 받는다. 값싼 인도주의적 동정이라고. 여름철에 벌집에서 수벌들이 학살당하는 현상을 지적하면서. 거미 테클라의 입장에서 보면 거미줄에 걸려든 꿀벌을 희생양으로 삼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야 자신의 생존 연장이 가능하므로. 반면 꿀벌의 입장에서는 마른하늘에 날벼락일 수밖에 없다.
꿀벌 마야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연 생태계에 존재하는 상호 존중과 배려의 태도와 함께 사랑의 가치도 인식하게 된다. 신비로운 존재였던 인간에 대한 환상이 꽃의 요정을 통해 실현하게 되고 가장 아름다운 인간의 모습을 목도한다. 그것은 사랑하는 소년과 소녀, 두 연인이었다.
“저 모습은 지금까지 내 눈으로 본 것 중 가장 멋진 것이었어. 사람들은 서로 사랑할 때 가장 아름답다는 것을 이제 알았어.” (P.179)
동화답게 이 작품에는 어린 독자들을 위한 다양한 교훈이 들어있다.
“경험이란 인생의 가장 소중한 재산이며 노력해서 얻을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마야는 생각했습니다.” (P.56)
“결과를 보지도 못하고 물러서는 것은 정말이지 부끄러운 일이잖아요. 마야도 그런 경험은 하기 싫었지요.” (P.120
“우리는 어떤 것을 보고 비웃을 때가 자주 있지만, 나중에 알고 보면 우리가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우스워 보였던 경우가 참 많아요.” (P.135)
겉보기에 아름다우면서도 재미있는 동화 이야기로 받아들이지만 곰곰이 반추해 볼 대목도 있다. 먼저 인간 예찬이다. 작가는 꿀벌 마야의 눈을 통해 인간이야말로 유일무이한 가장 “힘세고 영리하고 숭고한 동물”(P.150)로 찬미한다. 인간의 시각에서 인간 자신이 자연과 우주를 통틀어 가장 소중한 존재임은 사실이지만 이를 자연계 전체로 확대한다면 다른 생물과 중요성은 별반 다를 바 없다.
마야는 벌집으로의 복귀 염원과 여왕에 대한 측량할 길 없는 충성심을 표현한다. 이야기 속의 여왕벌은 침착하고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리분별이 흔들림 없으며 인정과 포용력을 보여준다. 이상적인 지도자의 전형이다. 이런 여왕이라면 목숨을 내걸고도 헌신과 충성을 바칠 만하다. 문득 전체주의 뉘앙스가 연상되는 것은 억측으로 생각될 수 있으리라. 개인보다 집단 전체의 안녕과 생존을 중시하는 꿀벌과 개미는 전체주의에 찬동하는 대중에 비길 수 있다. 이 작품이 쓰여진 시대적 배경을 살펴본다. 아직 제1차 세계대전을 겪지 않은 제국주의 전성기 시절이며 작자의 모국인 독일에서는 비스마르크를 쫓아낸 황제 폐하에 대한 충성심이 유효하던 시절이다.
“꿀벌 종족은 강하고 여왕을 위해서라면 언제라도 죽을 준비가 되어 있다는 점을 생각하자 마야는 적에 대한 분노를 한층 더 깊이 느끼며 자신을 희생해서라도 동족을 지켜야 한다는 각오를 다졌습니다.” (P.214)
이 작품은 곤충기와 교훈적 동화의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앞선 교훈들 외에 마지막으로 인상적인 장면을 소개한다. 꿀벌 마야는 꿀벌사회에 있어 사회부적응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다수의 범상한 대중들이라면 사회에서 일탈하는 꿀벌에 대한 맹렬한 비난을 정당하다고 받아들일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동의하지 않는다.
“인간 사회도 그렇지만 동물 사회에도 관습에 적응하지 못하는 별난 성격의 곤충이나 동물이 있기 마련이지요, 그런 곤충이나 동물에 대해서는 쉽게 비난만 할 것이 아니라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그런 태도가 언제나 게으름이나 아집 때문에 생겨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지요. 그런 태도는 평범한 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고귀하고 좋은 것을 얻고자 하는 애타는 마음에서 비롯되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P.148~149)
외톨이였던 마야가 실상 작가 본젤스 자신의 자화상이었음을 새삼 생각해 본다.
금년도에 꿀벌 마야라는 제목으로 이 작품이 애니메이션 영화화되었음을 뒤늦게 알게 되었다. 언제 짬을 내어 한번 비교 감상해보면 흥미로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