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ㅣ 열린책들 세계문학 160
메리 셸리 지음, 오숙은 옮김 / 열린책들 / 2011년 1월
평점 :
거대한 체구의 흉포한 괴물. 인간을 닮았지만 자연이 아닌 인간이 만들어낸 불의한 존재. 그것이 지칭하는 명칭의 어감만으로도 공포감을 자아내는 괴물 인간, 프랑켄슈타인이다. 대중매체의 집중적인 관심으로 괴물 인간의 인지도는 비약적으로 상승하였지만, 문학사적으로는 여전히 B급 장르문학으로 높은 평가를 받지 못하는 작품이다.
이 소설을 읽는 독자는 대체로 실망하기 마련이다. 프랑켄슈타인 괴물의 잔인한 살상행위와 이에 대항하는 인간의 결투 등을 기대했다면 실제적 살인과 대결 등의 묘사는 전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 하나 프랑켄슈타인 괴물을 주인공으로 생각하고 괴물의 행동은 물론 내면까지도 심도 깊게 기술되어 전모를 확연히 알 수 있게 되리라고 생각했다면 주인공은 괴물이 아니라 괴물을 창조해 낸 젊은 과학자이고, 그의 이름이 프랑켄슈타인이며 괴물은 딱히 이름도 없다는 사실이다.
작품의 부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현대의 프로메테우스. 프로메테우스는 신화에서 인간에게 불을 가져다 준 신으로 기억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진흙으로 인간을 빚어낸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작가는 인간이 신을 흉내 내어 유사 생명체를 창조해 내지만 그것이 얼마나 독신 적이며 반인간적 행위임을 신랄하게 파헤치고 있다. 생명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과학적 지식을 향한 인간의 집착, 만들어 낸 존재에 대한 창조자로서의 무책임한 방치와 증오, 신체적으로 지적으로 우월한 피조물에 이끌려 다니며 무력하고 나약하기 그지없는 인간의 양태 등. 괴물이 아닌 인간 프랑켄슈타인의 관점에서 작품을 읽어나가면 그의 오만과 좌절, 비겁과 나약, 분노와 증오가 파노라마처럼 작중에 펼쳐져 있음을 발견하게 되고 두 프랑켄슈타인의 미래가 전개되는 귀결에 목말라함을 느끼게 된다.
작자는 메리 셸리는 영국 낭만주의 시기 대표적 시인인 퍼시 셸리의 아내다. 진보적 철학자 아버지를 둔 가정환경에서 자라 지적으로 조숙한 그녀는 퍼시 셸리의 두 번째 아내가 되어 바이런의 스위스 별장에서 이 작품을 착안하게 되었다고 한다. 당시 그녀의 나이 불과 19세. 소설을 읽다 보면 구성을 과도하게 비틀어놓으면서도 진행은 나이브하게 느껴지곤 하는데 여기에 연유한 탓이리라.
대중적 관심은 단연 괴물 프랑켄슈타인에게 집중되겠지만, 이 작품이 던지는 도덕적, 사회적 함의는 제법 묵직하다. 현대는 과학진보주의에 대한 낙관적 환상을 더 이상 인정하지 않지만, 줄기세포, 유전자 조작 등 발전을 거듭하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한계와 기준 설정에 대한 공감대는 아직 형성되지 않은 상태다. 궁극적으로 인간 복제와 대체가 가능하다면, 결국 괴물 프랑켄슈타인을 만든 인간 프랑켄슈타인과 동일한 입장에 처하게 되는 셈이다.
“아! 그 얼굴이 안겨 주는 공포를 견딜 사람은 없을 것이다. 다시 살아난 미라도 그것만큼 소름끼칠 수는 없었다. 일이 끝나기 전에도 그를 가만히 뜯어본 적이 많았다. 그때도 물론 보기 흉했지만 막상 근육과 관절이 움직이기 시작하자 단테도 상상 못 할 그런 악마가 되고 말았다.” (P.83)
인간 프랑켄슈타인은 스스로의 손으로 창조한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혐오스런 외모에 치를 떨면서 외면하고 방치해 버린다. 괴물은 창조자로부터 애정과 보살핌을 받고 떳떳한 하나의 생명체로서 인정받기를 원하지만 아무도 그를 원하지 않는다. 창조자마저 버린 괴물이니 어느 누가 그를 받아들이겠는가. 그 자신은 어린 시절에 애정 어린 양육과 교육을 받았으면서도 그것을 피조물에게 베풀지 못하였다.
인간 프랑켄슈타인은 자신의 손으로 과학적 기적을 생산할 수 있다는 학문적 열망과 세속적 욕망에만 눈이 어두운 나머지 생산 이후의 결과에 대해서는 아무런 인식과 자각도 하지 못하였다. 인간으로 눈을 돌려서 남녀가 서로의 사랑에만 매달려서 낳은 아이를 방치하고 유기한다면 중대한 반인륜적 범죄로서 지탄과 처벌을 받게 됨은 자명하다. 오늘날 생명공학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연구에 대해 학문적, 상업적, 세속적 욕망 외에 도덕적 인식을 제대로 갖추고 있는지 여부는 사실 알 수 없다.
인간 프랑켄슈타인이 자신을 구조한 로버트 월턴의 과학진보주의에 대한 소신을 듣고 터뜨린 신음은 자신의 뼈저린 체험에서 비롯된 이러한 깨달음일 것이다.
“불행한 사람! 당신도 나 같은 광기를 지닌 거요? 당신 역시 그 도취의 한 모금에 취한 거요?” (P.44)
“나는 선한 의도로 삶을 시작했고, 그것을 실행에 옮겨 내가 인류에게 쓸모 있는 존재가 되는 순간을 갈망했다. 그러나 모든 것이 무너져 버렸다. 과거를 흐뭇하게 돌아보고 거기에서 새로운 희망의 약속을 끌어내는 양심의 평화는 사라지고, 후회와 죄의식이 어떤 언어로도 표현할 수 없는 고통스러운 지옥으로 나를 몰아댔다.” (P.125)
그래서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항변은 섣불리 무시하기 어려운 도덕적 명분의 울림을 지닌다.
“어떻게 생명을 가지고 그런 장난을 친단 말이오? 나에 대한 의무를 다하시오. 그러면 나도 당신을 물론 다른 인간들에 대해 내 의무를 다할 테니.” (P.136)
“나는 당신의 정의를, 당신의 너그러움과 애정을 받아야 마땅하오. 나는 당신의 피조물이잖소. 나는 당신의 아담이어야 했건만 타락한 천사가 되었고, 아무 잘못도 없는 나를 기쁨에서 몰아내었소.” (P.137)
“비록 당신에 대해서는 야속한 감정밖에 없었지만 내가 구원을 기대할 사람도 당신뿐이었으니까. 무정하고 냉혹한 창조자 같으니! 당신은 내게 인지력과 열정을 주어 놓고선 세상 밖으로 내팽개쳐 인간의 경멸과 공포를 사게 만들었소.” (P.184)
공상과학 문학이나 영화 등 장르에서 즐겨 다루는 소재 중 로봇이 있다. 괴물 프랑켄슈타인도 일종의 로봇이라고 부를 수 있다. 차페크의 희곡 <R.U.R.>이나 아시모프의 소설을 바탕으로 한 영화 <아이 로봇>, 일본 애니메이션인 <은하철도 999>도 피조물 로봇이 인간 세상을 지배하려고 하는 대목은 공통이다. 다소 다르지만 <도롱뇽과의 전쟁>도 기본 접근은 유사하다. 인간을 닮은 고급 복제물(로봇 포함)일수록 자신이 인간에게 복종하고 지배당하는 현실을 계속 감수하지는 않을 것은 당연한 추론이다. 그들은 자신들이 인간을 지배하기를 원하게 된다. 괴물 프랑켄슈타인은 초보적 인식 단계에 머무르지만 궁극적 지향에 이르는 길은 멀지 않으리라.
“넌 노예야. 그렇게 설득했건만 넌 내가 애써 겸손 떨 가치도 없음을 스스로 입증하고 말았어......넌 나를 만들었지만 네 주인은 나야. 어서 복종해!” (P.220)
발표 당시에는 대단한 찬사를 받았지만 곧 세인에게 잊히는 경우도 있지만, 처음에 그저 그런 정도로 여겨졌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의의와 평가가 점점 높아지는 예술 작품이 있다. 진정한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데, 소설 <프랑켄슈타인>도 여기에 해당한다. 작자가 200년 후 현대의 과학적 진보를 예견하고 이 작품을 쓰지는 않았을 테지만, 인간과 과학과 도덕이 맞물리는 난해한 지점을 천재적 직감으로 선취한 것은 분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