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멜라 1 대산세계문학총서 79
새뮤얼 리처드슨 지음, 장은명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원제는 <파멜라; 또는 미덕의 보답>이다.

 

이 작품은 두 가지 두드러진 특징을 지닌다.

우선 서간체 소설이라는 점. 번역본 기준으로 9백면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 전부 편지 형식이다. 처음엔 너무 지루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심도 들었다. 그런데 막상 책장을 펼치니 전개가 매우 흥미진진하여 지루함을 느낄 틈이 없었다. 다만 이 작품은 진정한 의미의 서간체는 아니고, 서간체 형식을 차용했을 뿐임이 금방 드러난다. 통상 서간체는 두 주인공 간의 주고받음을 포함하는데, 여기서는 오로지 파멜라의 일방적 글쓰기만이 존재한다. 어찌 보면 형식만 다를 뿐 자전적 고백이라는 측면에서 일기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사실 중반부터는 수신자가 표시되지 않고, 요일이 대신 표기되어 일기라고 해도 무방하다.

 

표제는 이 소설의 다른 특징을 드러낸다. 미덕의 보답이라고 하여 작가가 교훈적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알게 한다. 귀족 주인에게 순결을 위협받는 하녀가 현명한 처신으로 순결을 지킬뿐더러 주인과 결혼을 하게 되어 행복과 신분상승을 쟁취한다는 줄거리는 이를 명백히 한다. 전반부는 위협과 감금에도 정조를 지키려는 파멜라의 눈물겨운 사투가 독자를 사로잡는다면 후반부는 주인에게 진정한 사랑을 일깨워준 파멜라가 계급의 벽을 깨고 여주인으로 입신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독자에게 대리만족을 제공한다. 일견 매우 통속적이지만 그만큼 대중의 정서에 잘 부합하는 것이어서 당대에 베스트셀러가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사실 이 작품의 진정한 가치는 여성심리에 대한 우아하고 섬세한 묘사에 있다. 편지를 쓰는 이가 파멜라이므로 관찰자는 자연스레 여성의 시각에서 인물과 주변을 조감하게 된다. 10대 후반의 소녀는 자신에게 가해지는 압력과 위험에 결연히 맞서지만 내심은 얼마나 불안하고 초조할 것인가. 우월한 신분과 권력을 가진 자 앞에서 그녀는 무릎 꿇고 눈물을 흘리는 한없이 여리고 나약한 존재일 뿐이다. 그녀는 부모님께 몰래 보내려는 편지에서 이 모든 것을 한 치도 숨김없이 진실 되게 토로한다. 기쁨과 슬픔, 희망과 절망, 기대와 낙담, 이 모든 것이 너무도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기술되어 있어 작가가 당연히 여성일 것으로 착각하게 만든다. 그만큼 작가의 가면이 거의 완벽하다.

 

파멜라는 당대의 관점에서 이색적 존재이다. 그녀는 하녀라는 낮은 신분이므로 계급적 오만과 독선에 젖어있지 않으며, 부모의 교육과 신실한 종교적 감화로 고상한 도덕 기준을 갖추었으며, 돌아가신 주인마님의 교육으로 여느 숙녀 못지않은 교양을 쌓을 수 있었다. 그녀의 시선은 언제나 낮은 곳을 바라보며 그녀의 가슴은 항상 따스함을 품고 있다.

 

풍요로우면서도 불의한 것보다는 가난과 정숙함을 선택하는 것이 얼마나 편안하겠니?”(P.52)

 

한 시간 동안 순결하게 사는 것이 오랜 세월 동안 죄지으며 사는 것보다 나아요. 또 순결을 지키려다 제 생활이 아주 비참해진다 해도 정결을 지키는 저의 행복한 시간을 제가 만약이라도 최후의 일각까지 연장시키지 않는다면 전 제 자신을 절대로 용서하지 못할 거예요.”(P.249)

 

이렇게 그녀는 내내 한결같이 순결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하며 정조와 재화의 타협적 거래를 단호히 거부한다. 이것이 작가가 세상에 전하는 중대한 메시지이기도 하다. 그만큼 당대의 도덕적 관념이 많이 흐트러졌음을 역으로 드러낸다.

 

18세기 초반이라는 시대적 배경, 엄연히 신분과 계급의 차별이 공인되던 사회임을 감안하면 파멜라의 의식은 매우 선구적이다. 자신의 욕망 충족을 거부한다는 이유만으로 비록 하녀일지라도 물리적 위협과 신체적 감금을 마음대로 자행하고 이것이 용납되는 시절이다. 그녀가 아무 잘못이 없음에도 주인에게 무릎 꿇고 눈물로 애원하는 역전된 현상, 자신의 의지에 반하여 강압적으로 순결을 박탈당하게 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호소 등에서 출발하여 점차적으로 결국은 신 앞에 동등하다는 인식으로 확장된다.

 

파멜라의 고난은 이 1권에서 내내 계속된다. 그녀가 겪는 고통과 위험은 독자에게 공감대와 흥미를 불러일으켜 롤러코스터를 타는 듯한 엇갈린 쾌감을 선사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