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사용법 -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대상작 ㅣ 신나는 책읽기 33
김성진 지음, 김중석 그림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대상작
모름지기 동화는 읽을 때 다소 유치한 맛이 있어야 제격이다. 본격 성인 대상 문학인마냥 젠체하고 거들먹거리면 동화로서 미덕이 미흡하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완연한 동화이다.
소위 생명장난감을 소재로 한 내용은 사실 좀 섬뜩하다. 생명을 지닌(또는 흉내 낸) 장난감이라니! 작가의 의도는 이해되지만 읽는 내내 개운찮은 뒷맛을 남기는 게 또한 사실이다.
공언된 일차적 주제는 명약관화(明若觀火)하다. 가족 내 엄마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반성. 진정한 사랑으로 자식을 보듬어주지 않고 물질적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은 참된 엄마가 아니다.
“진짜 엄마이시군요. 생명장난감은 집안일은 잘 하지만 아이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거든요.”(P.106)
한편 이차적 주제는 외형적 물질만능주의와 생명존중 부재에 대한 비판이 될 것이다. 비록 이 작품은 가상의 미래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눈길을 오늘로 돌린다면 생명장난감은 바로 애완동물이 된다. 혹자에게는 가족의 일원으로 대우받지만 여전히 단순한 장난감 취급받는 경우도 많이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니 무수한 버림받은 개와 고양들이 존재하게 된다. 근본적인 고민은 생명을 지닌 존재가 장난감이 될 수 있는가 하는 근원적인 차원이 돼야 할 것이다.
작품 내에서 생명장난감 엄마가 고장 난 것으로 의심받는 대목은 현대인에게 있어 매우 시사적이다.
“저거야! 저 장난감이 소리 내어 웃었어! 생명장난감은 마음이 없어야 해! 저건 불량품이야! 잡아가야 해! 폐기처분해야 한다고!”(P.87)
인간의 인간다움은 바로 마음에 있다. 희로애락을 느끼고 동정과 연민의 감정을 지닐 때 우리는 인간적이라고 칭한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마음이 존재하는 탓에 불량품으로 분류되는 사회. 그것은 속도와 경쟁만이 찬양받고 승자가 독식하는 비정한 우리 사회를 일컫는 것에 다름 아니다. 마음을 가지면 약해지고 약해지면 뒤처지고 도태되어 패배하는 사회, 그래서 우리는 마음을 접어두고 냉혹해지기를 요구한다.
이 작품은 단순한 듯 하면서 실로 무시무시한 함의를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