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정리 편지 창비아동문고 229
배유안 지음, 홍선주 그림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작 동화치곤 특이하게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한석규가 파격적인 세종대왕 역할로 나와 화제가 되었던 드라마와 일맥상통하는 주제를 다루는 것도 이채롭다.

 

세종대왕이 심심풀이로 또는 자기만족에 겨워서 한글이라는 새 글자를 만들지 않았음은 훈민정음 서문에서도 익히 드러난다. 언문일치와 애민(愛民)이야말로 한글 창제의 기본 정신이다. 자신이 다년간 애써 만든 글자가 백성들에게 잘 수용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할 것이다. 여기서 세종대왕은 자신이 만든 글자를 어떻게 테스트하였기에 확신을 가졌을지 사뭇 궁금하다.

 

이 작품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장운과 세종의 만남은 그래서 작위적이지만 불가피하다. 세종 외에 반포 전에 장운에게 한글을 가르쳐 줄 이가 누가 있겠는가. 이후 작품방향은 두 갈래로 전개된다. 장운으로부터 누이 덕이, 난이, 오복이로, 또한 석수장이들로 한글은 자연스레 확산된다. 이는 한글의 습득 용이성과 실용성을 웅변적으로 입증하는 셈이다. 아울러 글자는 지식의 권력화를 가능하게 한다. 한글은 양반들이 독점적으로 소유해왔던 지식 특권을 평민들이 더 이상 인정하지 않음을 가리킨다. 따라서 한글 창제에 그토록 사대부들의 반대가 극심했음은 자명한 것이다. 즉 한글은 은연중에 계급의식을 표출하는 셈이다.

 

장운의 행장을 통해 한글의 보급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작품의 날줄을 구성한다면, 계급 간 갈등과 피지배층의 곤궁의 묘사는 씨줄을 담당한다. 이것이 맞물려서 이야기의 사건과 갈등을 증폭하여 추진력을 높이는 동시에 이야기에 흥미를 증폭시켜 준다.

 

작가는 이에 만족하지 않는다. 장운이 점밭과 석수장이들로부터 돌 깍는 기술을 배우는 과정을 비중 있게 다루면서 스스로를 낮추면서 진정한 장인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 낮은 곳으로, 아래로 임하는 것, 그것은 바로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뜻이 아니겠는가.

 

물이 들어와 펑퍼짐한 연꽃 속에서 찰랑였다. 마치 온 세상을 연꽃이 감싸고 있는 듯했다. 살짝 아래로 처진 꽃잎 하나가 물길을 터 주었다. 맑은 물이 연꽃에 감싸였다가 다시 흘러 내렸다.

아래로 죽 이어지는 물줄기가 작은 강 같았다.”(P.208)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동화로서는 주제의식이 너무 진지하지 않나 생각되기도 한다. 과연 어린이들이 한글 창제의 깊은 함의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을까 의구심이 들기도 하는 한편, 요즘 아이들은 상당히 지적 이해수준이 높으므로 충분히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 같다. 어차피 수용 여부는 그네들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