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마의 사전 - 기지와 해학 위트의 백과사전
앰브로스 비어스 지음, 정시연 옮김 / 이른아침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앰브로즈 비어스의 이름을 오늘날까지 떨치게 한 문제의 사전이다. 원래는 냉소자의 사전이라는 타이틀을 지녔으나 후에 현재의 표제로 바꾸었다고 한다. 글쎄, 개인적으로는 이전의 표제가 보다 적합하다는 생각이다. 내용상으로는 악마적이라고 볼 수 없다. 다만 당대에서 세간에 전달된 충격과 반향에서 악마의 입김을 연상했는지는 알지 못한다.

 

형식은 어휘 사전이다. 즉 어휘 명을 알파벳 순서에 따라 나열하고(번역본에서는 가나다순이다) 여기에 어휘의 뜻을 풀이하는 전형적인 사전 방식이다. 관건은 어휘의 뜻에 있다. 통상 사전에서 기대하는 의미가 아니라 작가 나름의 시니컬한 관점에서 파악한 의미가 제시된다. 사회비판적 인식이 강하므로 부조리한 정치, 사법, 행정, 종교 등을 냉소할 뿐만 아니라 사회와 개인의 일반적인 행동 양태에 대해서도 비딱한 빗대기가 심심찮게 나온다.

 

요즘이야 하도 네트워크가 발달하여 순수한 의미로 수용되고 해석되는 현상을 거의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이므로 비어스의 시니컬이 그다지 생소하지 않다. 그저 조금 흥미롭구나 하는 정도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때로는 꽤나 색다른 관점에서 어휘적 정의를 이해하는데 대한 신기함이 관심을 끄는 정도다. 풍자와 비판, 독설이 난무하며 그래야 주목받는 때가 바로 작금의 우리 사회가 아닌가! 하지만 이 책이 출간된 20세기 직후의 당대 사회에서라면 어휘 하나하나에 짙게 배어있는 냉소와 어두운 그림자에 화들짝 놀랐을 수도 있겠다. 그만큼 여기에 수록된 2천여 개의 어휘에 대한 작가의 일관된 신랄함과 뒤틀린 위트는 낯선 매력을 제공한다.

 

대체적으로 단어의 의미만을 풀이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따금씩 사례 또는 해설이 덧붙여지는 경우도 있어 동일 형식의 반복적 나열에 따른 지루함을 깨뜨리고 있다. 광고 문구와 같이 악마도 웃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가벼운 마음으로 한 번 정도 훑어보면 어휘의 사전적 의미를 뛰어넘는 함의를 되새겨볼 수 있다. 또한 어휘가 사전에 박제된 것이 아닌 현실 사회에서 기능하고 작동하는 신선함도 느껴볼 수 있다. 덤으로 당대 사회나 현대 사회나 인간과 사회가 돌아가는 현실은 별다른 차이가 없음을 깨닫게 될 수도 있다.

 

훗날 기억을 위해 몇 가지 어휘만 임의로 인용한다.

 

남편 husband : 식사가 끝나면 설거지를 도맡는 인물.
비미국적인 un-America : 사악한, 용납할 수 없는, 이단의.
사임하다 resign : 쫓겨날 기미가 보일 때 하는 안성맞춤의 짓.
                          : 이익을 위해 명예를 포기하다. 더 큰 이익을 위해 하나의 이익을 버리다.
서양 occident : 동양의 서쪽(혹은 동쪽)에 위치하는 지구의 일부분. 광범위한 지역에 걸쳐 ‘위선자’로 알려진 기독교도가 살고 있다. 그들의 주요 산업은 살인과 사기인데, 그들은 이것을 전쟁과 무역이라 일컫고 있다. 그러나 이 두 가지는 동양의 주요 산업이기도 하다.
성나게 함 provocation : 사람들에게 그의 아버지가 정치가였다고 말하는 것.
소요학파의 peripatetic : 돌아다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과 관계가 있는. 아리스토텔레스는 철학 강의중에 자기 제자들의 반론을 피하기 위해 이곳 저곳으로 돌아다녔다. 그런데 이것은 불필요한 경계였다. 제자들도 철학에 관해서는 스승만큼 아는 바가 없었기 때문이다.
악당 blackguard : 시장에서 딸기상자를 볼품 있게 하기 위하여 좋은 것들만을 골라 맨 위에 늘어놓았는데, 심술궂게 밑바닥을 뜯어보는 사나이. 안팎이 뒤집힌 신사.
양손잡이의, 두 마음을 품은 ambidextrous : 남의 주머니라면 그것이 오른쪽이든 왼쪽이든 똑같은 솜씨로 훔쳐낼 수 있는

 

재밌는 것은 사전에 대한 정의다.
사전 dictionary : 언어의 자유로운 성장을 억제하여 탄력성 없는 것으로 고정시키고자 생각해 낸 언어와 문자에 관한 악랄한 저작. 단, 본 사전은 예외로 지극히 유익한 저작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허어 2014-05-25 16: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꼭 읽어보고 싶은 책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