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렌 굴드, 피아노 솔로 ㅣ 동문선 현대신서 102
미셸 슈나이더 지음, 이창실 옮김 / 동문선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건반 위의 고독한 악동에 대한 이미지]
나도 또한 글렌 굴드로 인하여 바흐의 건반악기 작품에 흥미를 가질 수 있었다. 라이센스 LP로 발매된 〈프랑스 모음곡〉을 턴테이블에 올려 놓은 순간 두 번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우선은 그의 통통 튀는 듯한 피아노 음향과 속도감, 그리고는 이어서 들려오는 흥얼거림. 이렇게 나의 굴드 편애는 시작되었고 지금도 여전하다.
글렌 굴드의 전기가 출판되었다는 말을 듣고 자못 기대를 하였다. 괴짜 내지 이방인의 이미지를 풍기는 그의 실제 삶은 과연 어떠하였을까. 나와 같은 단순한 흥미로 이 책을 접하는 사람은 곧 실망하게 될 것이다. 그의 삶은 단편적으로만 소개될 뿐이었다. 순간 무슨 전기물이 이렇지? 하고 화가 났다.
하지만 페이지를 잇달아 넘기면서 나의 우매함을 탓하게 되었다. 저자의 말대로 “전기는 우리에게 아무것도 가르쳐 주지 않으며, 예술가들의 전기는 창작의 수수께끼를 늘 설명되지 않은 채로 남겨둔다.” 그래서 저자는 사실들 혹은 사건들에 대해 기록하는 대신 ‘영혼의 사실들’을 이야기한다. 그 편이 오히려 예술가 글렌 굴드에 보다 가까이 접근하는 방법이므로.
프랑스 음악 또는 문학은 서구 다른 나라의 그것과 묘한 차이를 보인다. 때론 현학적인 느낌마저 드는 미묘한 이미지의 전달. 이 책도 예외는 아니다. 두서없는 개인적 감상문이 아닌가 의심스러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손에 잡힐 듯 말 듯한 경계를 넘나들며 저자는 우리에게 굴드에 관한 어떤 이미지를 전해 주려고 노력하고 있는 듯도 싶다.
1964년, 굴드는 연주회장을 영원히 떠났다. 이어서 레코딩에의 전념, 그리고는 1982년 죽음. 이처럼 그의 삶은 단순한 외양을 지닌다. 청중과의 의사소통 내지 교감이 더 이상 어렵다고 판단했기에 연주회를 떠났고, 골드베르크에서 시작하여 골드베르크를 마쳤으니 삶을 떠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면 지나친 억측이라고 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는 경건주의와 엄숙주의에 젖어있던 연주계에 유쾌한 바흐상을 보여주면서 바흐를 우리들 옆으로 인도했다. 동시대에 살아 숨쉬는 바흐로. 비록 자신은 세상으로부터의 절대고독을 택했지만.
명연주자를 수식하는 문구가 흔히 있다. ‘건반 위의 사자왕’ ‘강철타건’ ‘건반 위의 철학자’. 내게 글렌 굴드는 악동의 이미지를 풍긴다. 그것도 고독한 악동. 그래서 나는 그를 ‘건반 위의 고독한 악동’이라고 칭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