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우돌리노 - 상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현경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4월
평점 :
[허구와 진실의 사이에서]
움베르코 에코는 친숙하게 들리지만, 내겐 별로 가깝지 않은 작가이다. 기껏해야 『연어와 여행하는 방법』을 읽었을 뿐, 유명한 『장미의 이름』도 읽지 않았다. 어쩌면 이 책도 누군가에게 선물받지 않았다면 접할 기회가 없었을 것이다.
바우돌리노는 주인공의 이름이다. 그는 세상의 온갖 모험을 다 겪은 풍운아라고 할 수도 있고, 아니면 희대의 허풍쟁이이자 사기꾼이라고도 볼 수 있다. 한편 바우돌리노는 가톨릭 성인의 이름이기도 하다. 바우돌리노가 비잔틴제국의 역사가 니케타스 앞에서 자신의 일생과 모험을 구술하는 방식으로 씌어졌는데, 분량도 방대하며 내용은 더더구나 상상을 뛰어넘어 황당하기조차도 하다. 성배에 관한 이야기는 ‘아서왕의 기사’ 아니면 스필버그 감독의 영화 「레이더스」를 생각나게끔 한다.
‘픈다페침’ 과 요한사제의 왕국, 프리드리히황제의 죽음 등 일련의 사건들이 술술 넘어가며 독자로 하여금 진실이라고 믿게끔 유도한다. 그러면서 가끔씩 니케타스로 하여금 그의 이야기는 사실이 아닐지도 모른다고 의심을 갖게 만든다. 그의 삶이 진실인지 거짓인지는 누구도 모른다. 한낱 허풍에 지나지 않는다고 일소에 부칠 수도 있다. 그러나 공식적인 역사서에 드러난 것만이 참다운 역사라고 하는 주장도 또한 억지에 불과하다. 역사와 진실이 반드시 함께 하는 것은 아니다.
에코는 나름대로 가벼운 문체로 대중을 위하여 썼다고 하지만, 중세 역사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가진 대중이 얼마나 될까 궁금하다. 혹 유럽 사람에게는 어릴 때 동화책에서 읽어 보편화 되어 있는 민담이 아닐까. 나는 책을 읽을 때, 저자가 독자에게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를 늘 궁금해 한다. 에코는 바우돌리노의 입을 통해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을까. 역사의 객관성과 진실성에 대하여, 아니면 바우돌리노를 통한 인간의 자유로운 영혼에 대하여... 어쩌면 에코는 이렇게 말할지도 모르겠다. “엄청 복잡하군. 그저 단순히 이야기 자체를 즐기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