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하는 기업들의 8가지 습관
짐 콜린스 & 제리 포라스 지음, 워튼포럼 옮김 / 김영사 / 200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업적 타이틀, 그러나 비전있는 내용]

유사한 제목의 베스트셀러를 의식한 다소 상업성이 강한 타이틀(원제는 Built to Last)을 달고 나온 이 책은 내게는 관심 밖이었다. 아무리 언론에서 평가가 후하게 내려져도. 하지만 얼마전에 후속작인 를 우연한 기회에 접하고는 상당히 매료되어서 전작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도서관에 갔었지만, 마침 한권 있던 책의 상태가 불량하여 대출이 안되는 바람에 서점에서 구입하려 했는데, 구판이 절판된 상태라 몇 달을 기다린 후에야 신판을 구입할 수 있었다. 발간순으로는 역순이지만, 에서 저자는 내용상으로는 이 책이 먼저라는 의견을 밝히고 있다. 좋은 기업을 위대한 기업으로 도약시키기에 앞서 과연 위대한 기업은 무엇이며 그들은 그렇지 않은 기업과 어떻게 다른가에 대한 답이 이 책이다. 여기서는 ‘위대한 기업’을 ‘비전 기업’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물론 반드시 동일한 개념은 아니지만 나는 그렇게 받아들인다.) 18개의 비전 기업을 선정한 후, 비교 기업군과의 차이가 무엇인가를 조목조목 분석해 나가는 방법이 후속작과 매우 유사하다. 여기서 잠시 두 저작의 주요개념을 잠시 열거해 보자.

Good to Great- 단계5의 리더십, 사람먼저 다음에 할일, 냉혹한 사실을 직시하라, 고슴도치 컨셉, 규율의 문화, 기술 가속페달, 플라이휠. Built to Last- 시간을 알려주지 말고 시계를 만들어 주어라, 이윤 추구를 넘어서, 핵심을 보존하고 발전을 자극하라, 크고 위험하고 대담한 목표, 사교같은 기업문화, 많은 것을 시도해서 잘되는 것에 집중하라, 내부에서 성장한 경영진, 끊임없는 개선 추구. 여러 부분에서 흡사한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시계를 만들어 주어라’와 ‘내부에서 성장한 경영진’은 ‘단계5의 리더십’에 연결된다. 즉, 카리스마적 경영자 한 사람에 의존해서는 결코 위대한(비전) 기업이 되지 못하며, 조직의 가치,비전,사명을 체득한 외부인사가 아닌 내부경영자가 기업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주장한다. ‘끊임없는 개선 추구’와 ‘핵심을 보존하고 발전을 자극하라’는 ’플라이휠‘ 개념으로 연결된다. 기업의 핵심가치,사명 등을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변화를 거부하고 가만히 있어서는 안되며 그 틀내에서 발전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 한때의 성공에 안주하면 파멸의 올가미가 기다리고 있다.

그러면 ‘크고 위험하고 대담한 목표’와 ‘냉혹한 사실을 직시하라’는 어떠한가. 또한 ’많은 것을 시도해서 잘되는 것에 집중하라‘와 ’고슴도치 컨셉‘도 서로 다른 개념이 아니다. 즉 비전 기업이든지 아니면 위대한 기업이든지 명칭에 관계없이 소위 성공한 기업이 갖추고 있는 모습은 다른 기업과는 분명히 구분되는 독특한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한끗 차이에서 기업의 운명이 결정된다고 하겠다. 이 책은 일반적 경영서와는 달리 통시적 시각에서 다수 기업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유니크하다. 물거품처럼 명멸하는 수많은 기업체 중에서 장시간을 성공적으로 생존하는 기업을 세우고 이를 유지하는 것이야말로 참으로 멋진 일이 아닐까하는 느낌이 든다. 물론 그 과정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18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2.12.29에 쓴 글을 마이페이퍼에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