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1
에르네스트 르낭 지음, 신행선 옮김 / 책세상 / 200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민족과 민족국가, 그리고 국민과 국민국가의 경계]

책세상문고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읽어 보지는 않았다. 굳이 어설픈 변명을 하자면 아직은 국내 사회과학계를 신뢰하지 못한다는 개인적 편견 탓이라고나 할까. 그런 의미에서 고전의세계 시리즈는 상대적으로 선택이 쉬웠다. 고전이란 용어가 이미 내용에 대한 막연한 믿음을 부여하는 데다, 그동안 접하지 못했던 저작을 가볍게 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에르네스트 르낭이 누구인지 표지만으로는 알지 못했다. 약력을 보고서야 <예수의 생애> 저자였음이 어렴풋할 정도이니. 새삼스레 19세기 인물의 글을 시리즈 제1편으로 내놓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도 ‘민족’에 관한 글을. 출판사에서는 아직도 ‘민족’에 관한 르낭의 논의가 유효하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 이데올로기가 약화된 요즘, 민족 또는 문명 등의 요소가 글로벌사회를 이해하는 주요 요소로 부각되는 것과 관련있지 않을까 하고 추측을 해본다. 아래에서는 간단하나마 르낭의 글에 대한 나름대로의 느낌과 생각을 정리한다.

1. 독일 통일에 대한 프랑스의 부정적 역할- ‘프랑스와 독일의 전쟁’에서 르낭은 소위 보불전쟁을 일으키는데 프랑스의 잘못도 크다는 점을 지적한다. 독일처럼 문명화되고 지적 정신이 충만한 민족이 통일국가를 지향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함에도 프랑스는 독일에 지속적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킴으로써 프랑스에 적대적 통일분위기가 조성되는 실책을 유도하였다는 것이다. 매우 흥미있는 주장이다. 한편 르낭은 독일과 프로이센을 구분하여 비록 프로이센 같은 비독일세력에 의해 독일 통일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독일에 의하여 흡수되기를 바라고 있다.

2. 유럽 공동체 개념- 한편 프로이센의 봉건적이고 폭력적인 성향에 우려를 보내면서 프랑스와 독일의 원만한 관계유지가 문명사회의 진보를 위하여 매우 긴요함을 강조한다. 전쟁중인 양국 관계가 어떤 식으로 종결되더라도 그 파급효과는 부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며, 이러한 갈등과 위협요인을 억제하기 위하여 유럽의 개입 즉, 유럽합중국의 구성과 역할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마치 20세기 후반의 유럽연합을 예견하는 듯하여 놀랍기까지 하다.

3. 민족 개념과 구성원의 의지- ‘민족이란 무엇인가’에서 르낭은 전통적으로 종족, 언어, 종교, 지리 등에 의한 민족 구분 개념을 비판하고, 구성원들의 동의 내지 결집하고자 하는 의지야말로 민족 개념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진단한다. 글의 흐름을 생각해 본다면 매우 타당한 결론이라 할 수 있다.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언급한 해제를 염두에 둔다면 더더욱 그러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적으로는 약간의 의아함을 감추지 않을 수 없다.

4. 민족과 국민의 구분- 학교 수업 또는 여러 책들을 통해 파악한 민족의 개념은 문화와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 것이다. 즉 공통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를 지니는 인간 집단을 대개 민족이라 정의한다. 그런데 르낭은 구성원의 결합의지를 더욱 중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역사적 경험과 문화를 달리 하더라도 결합의지만 존재하면 같은 민족이라고 칭할 수 있을까. 예를 들면 스위스는 또는 미국은 민족국가인가. 여기에 동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이들은 여러 민족으로 이루어진 다민족 연방국가이다. 역사서에서는 서양의 근대이후 국가체제를 국민국가로 이해하고 있다. 즉 국가 정체성이 강화되면서 기존의 지방분권적인 봉건체제에서 중앙집권적인 국민국가로 넘어간다. 국민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구성원들의 소속의지 또는 결합의지이다. 히스패닉계 미국인과 중국계 미국인은 다른 민족이지만, 같은 국민이 가능한 것이 바로 앞에서 연유한다. 나로서는 이 부분이 매우 불명료한 것으로 여겨진다.

5. 생물학적 인종주의 대 문화적 인종주의- 본문에는 없지만 해제에서 르낭의 사상이 갖는 인종주의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르낭은 생물학적 차이에 따른 인종주의를 단호히 거부한다. 생물학적으로 백인종, 황인종, 흑인종은 차이가 없다. 그러나 문화적 차이는 존재한다. 백인종이 황인종과 흑인종보다 우월하다. 따라서 백인종이 세계를 지배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유대인은 백인종과 황인종 중간에 위치한다. 르낭은 당시 지성인들처럼 다윈의 진화 개념을 받아들여 이와 같은 개념체계를 정립한 듯싶다. 그러나 르낭이 어떠한 방식으로 문화적 인종주의를 합리화하든 결국 근대적 사고체계를 탈피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18 1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2.12.31에 쓴 글을 마이페이퍼에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