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랍인의 눈으로 본 십자군 전쟁
아민 말루프 지음, 김미선 옮김 / 아침이슬 / 2002년 4월
평점 :
[균형잡힌 역사적 시각을 되찾기 위한 흥미로운 노력에 갈채를!]
누구나 그렇듯이 학창시절에 세계사 수업에서 십자군전쟁은 매우 간단하게 기술된다. 이슬람에 점령당한 성지회복을 교황이 주창하고, 중세 봉건영주와 기사들이 호응하여 수차에 걸쳐 원정을 하였다. 1차에는 성지 예루살렘을 탈환하였지만, 뒤로 갈수록 본래의 목적에서 벗어났다. 위의 기술에 대해서 아무도 그 내용을 재고하지 않고 고민없이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인다. 원인은 우리들이 서양중심의 세계관과 역사관에 물들어 있다는데 연유한다. 우리에게는 ‘누르 알 딘’이나 ‘살라딘’ 보다는 ‘사자왕 리차드’가 더욱 친숙하다. 그런 까닭에 서구와 아랍의 대결에서 아무런 망설임없이 서구에 지지를 보내고 아랍세계를 적대시한다. 십자군전쟁은 얼핏 임진왜란을 연상시킨다. 침략군은 초기에 쉽사리 획기적인 전과를 올리고 깊숙이 침투하였다가 종국에는 격퇴당하였다. 아랍이나 조선은 승전국이다. 하지만 그 피해는 엄청난 것이었다. 자신의 고향이 바로 전장터였다. 이 책을 단순한 역사소설이라고 칭하기는 어렵다. 저자가 저명한 소설가이기는 하나, 이 책은 쉽게 풀이한 역사서로 분류하고 싶다. 생소한 이슬람 용어 및 역사석 사실에 대해 상세한 주석을 수십 페이지나 첨부하고 있다. 더욱이 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자 당시의 권역 지도도 덧붙였다.
초기에 이슬람권이 변변한 저항조차 하지 못하고 무너지고 상당한 기간동안 반격도 하지 못한 데는 이슬람권 내부의 반목이 큰 역할을 한다. 자연적 수명을 맞이한 지배자가 거의 없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웃 세력이 주도권을 가지면 혹시나 자신이 다스리는 도시가 지배되지 않을까 우려한 에미르들은 차라리 프랑크들에게 공물을 바치면서 안전하게 항복하는 길을 따랐다. 여기에 상속을 둘러싼 왕족들간의 치열한 분쟁이 있었고 칼리프와 술탄의 헤게모니 다툼이 있었다. 너무나 새롭고 흥미진진한 사실이 역사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특히 장기 이후 성왕 누르 알 딘, 그리고 이어지는 유명한 ‘살라딘’ 등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새삼 당시 이슬람 문명이 얼마나 만개하고 있었는지는 오늘날 퇴락한 시리아와 레바논 지역의 도시들이 당시에는 풍요로운 삶을 누렸다는 점에서 깨달을 수 있다.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이라크 침공까지 잇달은 사태에 직면하여 많은 관련서적들이 잇달아 출판되고 있다. 이것도 그 중의 하나이지만 중동의 이슬람 강경파들이 소위 ‘지하드(성전)’을 부르짖고 현대의 프랑크에 대항하는 것이 뿌리깊은 배경을 지니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어 흥미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