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 - 미국 인디언 멸망사
디 브라운 지음, 최준석 옮김 / 나무심는사람(이레)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탐욕과 거짓이 빚어낸 숨기고 싶어했던 미국 역사]
표제에 ‘운디드니’라는 용어가 있어서, 인디언의 고유명사인줄 알았다가 나중에야 ‘Wounded Knee’라는 사실을 알고 당혹을 금치 못했다. 차라리 인디어식 용어를 그대로 썼더라면 내용과 표제가 더욱 일치하지 않았을까. 각설하고, 책을 펼쳐들고 마지막 장에서 덮기까지 내내 분노와 슬픔과 어처구니없음이 복합된 감정을 억누를 수 없었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탐험이 서양에서는 신세기의 전환점이 되었지만, 아메리칸 원주민들에게는 재앙의 시작이었다. 특히 메이플라워호를 타고온 일단의 피난민들이 대륙에 정착한 이후 이주민들은 서쪽으로 무한한 팽창을 거듭하였는데, 이는 곧 소위 인디언들에게는 자신의 고향에서 지속적으로 추방당함을 의미한다.
20대 후반 이상의 우리나라 사람들이라면 어릴 적에 서부영화를 숱하게 보고 자랐다. 이들 영화의 주요 소재는 평화로운 백인 이주민들을 거칠고 무지하며 야만스러운 인디언들이 공격하지만, 그들을 영웅적으로 격퇴한다는 것이었다. 즉 백인은 선하고 인디언은 악하다라는 기본 도식이 전제로 되어 있었고, 우리들은 아무런 의심없이 그리고 지극히 당연하게 사실로 받아들였다. 이러한 도식이 완전히 날조되었음을 이 책은 여실히 드러내준다. 만약 우리들이 사는 지역을, 우리의 땅을 타인들이 강제로 빼앗으려고 할 때, 아무도 가만히 양도해 주지는 않는다. 당연히 저항이 따르고, 종국적으로는 힘과 힘의 대결이 벌어진다. 하지만 그 싸움이 어린애와 어른의 싸움이라면, 활과 총 또는 화살과 대포의 싸움이라면 결과는 너무나도 뻔하다. 이렇게 인디어들은 하나둘 종족이 스러져갔다. 교묘한 사기와 위협과 무력 앞에서. 그리고 오늘날 미국은 세계 초강대국이 되어 세계를 휘두르고 있다.
사람이 어떻게 사람에 대하여 잔인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하지만 미국 백인들에게 인디언은 사람이 아니었다. ‘선곰, 사람이 되다’는 장이 있다. 제목만 보고서는 무슨 내용일지 짐작이 가지 않았다. ‘선곰’이라는 인디언이 사람인지 아닌지 재판을 거쳐 최초로 사람이라는 판결을 받았다는 어이없는 내용이었다. 이것이 지금부터 약 120년 정도의 사건이다. 그나마 이것도 예외적인 판결이었고 그후 대법원에서는 여전히 사람이라는 주장을 인정하지 않는다. 내용에 대해서 너무나 하고 싶은 말이 많다. 하지만 일일이 늘어놓을 수도 없고 그러고 싶지도 않다. 이 책의 독자는 옛날에 타국에서 벌어진 일이라고 가볍게 치부해 버릴 수도 있다. 하지만 불과 수십년전(그리고 지금도 어디에선가는 진행중이다)에도 인간이 인간을 인간으로 여기지 않았던 역사적 사실이 있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