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이문열 중단편전집 4 (양장본)
이문열 지음 / 아침나라(둥지) / 2001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새삼 발견하게 되는 이문열 소설의 미학]
예전에 이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국내 주요 문학작품을 단막극으로 제작하여 예술성 높게 보여주었는데, 그때 ‘금시조’를 처음 접하고 꽤나 감동받았던 기억이 난다. 이렇게 나와 이문열의 만남은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그후 난 언제나 이문열의 애독자였다.
‘사람의 아들’,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젊은날의 초상’ 등등. 이문열은 상당한 분량의 장편소설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초기에 비해서 후기로 갈수록 장편에서 그의 작품은 향기를 잃어가고 있었다. 문학적 영감을 모아서 다듬고 오래 묵힌 다음에 내놓지 못하고, 너무나 유명해진 탓인지 공장에서 찍어낸 대량생산품 같다고나 할까.
하지만 ‘금시조’ 탓인지 난 이문열의 작가적 진면목은 여전히 그의 중단편에 숨어 있다고 생각한다. 초기의 대표작이 ‘금시조’라면, 후기의 분출이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이라고 하겠다.
이 작품이 처음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통해 나왔을 때의 인상을 잊지 못한다. 비꼬는 듯하면서 한편으론 엄석대에 대한 그리움이랄까, 그 가라앉은 열광. 창작력이 감퇴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를 일거에 씻어낸 쾌거였다.
하지만 그것이 촛불이 사위어지기 전 마지막 타오름이라는 걸 나중에야 알게 되었다.
이 작품집에 실린 6편 중에서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제외하고는 낯이 설다. ‘25년 전쟁사’와 ‘장군과 박사’는 희화적 가상역사물이라고 하겠다. 그 현란한 이야기 전개는 새삼 거장의 손길을 느끼게 한다. 전자가 치욕적 과거사를 가상적으로나마 뒤집어 재구성하여 당당한 역사관을 드러냈다면, 후자는 광복 이후 남북의 정치체제에 대한 신랄한 풍자를 보여준다.
‘타오르는 추억’은 6.25를 배경으로 상처받은 영혼의 방황을 그리고 있으며, ‘과객’을 통하여는 사라져 버린 과객(過客) 문화에 대한 엷은 향수를 되새기고 있다. 하지만 '두 겹의 노래’는 과연 무엇이란 말인가. 터무니없을 정도로 신화적 분위기를 물씬 자아내면서 그러나 신화 속 남신과 여신은 삭막한 현대 도시 속에서 오히려 비정함을 자아낼 뿐이다.
그의 중단편에서는 상업주의에 물든 후기의 색채가 다행히도 아직은 드리워지지 않고 있다. 새삼 이문열 소설의 미학을 재발견하게 되는 기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