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소리 바람소리 법정 스님 전집 3
법정(法頂) 지음 / 샘터사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물소리 바람소리, 그리고 사람의 소리 ]

넒은 의미의 수상록 즉 수필, 일기, 서간 등을 읽는 커다란 재미는 필자의 마음에 직접적으로 육박할 수 있다는데 있다. 독자의 상상력과 사실과 허구의 판단을 요한다는 점에서 소설이나 시 등 문학작품과도 구분되는 특성이다. 그것이 시간의 흐름을 좇아 꾸준히 서술되어 있다면, 금상첨화라고 하겠다.

『물소리 바람소리』는 1980년대에 초중반에 걸쳐 씌어진 글들이다. 일찍이 손에 들었던 『텅빈 모음』이 1970년대 초반, 『새들이 떠나간 숲은 적막하다』가 1990년대 초반에 씌어진 글이기에 시간적 간극이 확실히 구분되는 셈이다.

며칠전에 신문지상에서 우연히 저자의 세속 나이를 알게 되었다. 이 책이 씌어진 무렵은 그가 오십대 초반이다. 오십이면 지천명(知天命)이라고 했던가. 확실히 저자의 글에는 수도생활에의 정진과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이라는 양날의 줄타기가 절묘하게 표출되어 있다. 자칫 삐끗하면 천길 낭떠러지로 떨어질 수 있는 위험한 곡예다.

그의 글은 여전히 서슬이 시퍼렇다. 정치, 사회, 교단 내부의 부조리와 비리에 대한 통렬한 일갈은 왜 그가 군사정부에 의해 리스트에 올려졌는지를 알게끔 한다. 그러면서 끊임없이 치열한 자기반성과 구도의 삶을 통해 우리는 그가 본연의 자세를 지니고 있음을 깨닫게 된다.

사람과 사람사이에 정신을 깊이 하려면 먼저 예절과 신의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남모르는 사이에는 딱딱하게 여겨질 만큼 예절을 차린다. 그리고 서로가 친숙한 사이가 되면 허물없이 대한다는 핑계로 예절을 무시한다. 친구간, 부부간, 부모자식간에도 그러하다. 허물없음이 좋은 방향으로, 긍정적으로 귀결되는 일은 별로 없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예절은 상호간의 일차적인 필터 즉, 여과기능을 담당한다. 감정과 태도가 직설적으로 표출된다면 얼마나 뻑뻑할까. 뼈와 뼈 사이에 연골이 존재하는 이유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나 역시 이러한 잘못을 수차 저지렀고 그때마다 후회하곤 한 아픈 경험이 있다.

좀 모자라고 아쉬운 것도 있어야 그것을 갖고자 하는 기대와 소망도 품게 되는 것...할 수 있는 한 그 기간을 뒤로뒤로 미루는 것이 보다 오래 행복해질 것이다.

학생시절에는 갖고 싶은 것은 많은 반면에 내것으로 만들 수 있는 경제적 자원이 부족했다. 그래서 항상 입맛만 다셨고, 오랜시간 공들인 끝에 획득할 수 있었을 경우에 그 기쁨은 이루 형언할 수 없었다. 그리고 닳을세라 아끼고 조심조심 다룬다. 내게는 음반이 그러했다. 이제 직업인으로서 원하는 음반을 구입하는데 별로 어려움이 없다. 서가에는 음반의 숫자가 날로 넘쳐흐른다. 하지만 음악을 들으면서 느끼는 기쁨과 행복감은 점점 줄어드는 것 같다. 어디 음반 뿐이겠는가.

아는 것과 삶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한낱 공허하고 메마른 지식으로 처지고 만다.

지행합일(知行合一)은 유가나 불가나 중요하게 취급하는 것으로 보아서 매우 중요한 사안임은 틀림없다. 여기서의 지(知)는 지(智)가 아닐까. 단순한 지식(knowledge)을 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다. 현대 사회는 지혜보다는 지식을 강조한다. 지식인이나 지식기업, 지식사회를 언급할 때 지(知)와 지(智)가 혼재되어 있음을 보게 된다. 행동과 연계되지 않은 창백한 지식은 지혜가 아니다. 오늘도 여전히 자기계발에 관한 학습을 하고 서적을 탐독한다. 모든 자기계발서적의 최대 약점은 독자가 지행합일(知行合一)하지 않는다면 썩은 글귀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나같은 범인들은 타성에 빠져 남의 인생처럼 건성으로 사는 사례가 적지 않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14 17: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4.4.25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