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범 김구 평전
김삼웅 지음 / 시대의창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현대사의 대표적 비극은 일제 치하의 친일파를 청산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나는 그런 점에서 반민특위를 강제로 해산시킨 이승만을 절대로 인정하지 못한다. 그는 권력에 눈먼 늙은이에 지나지 않았다. 바로 그 점에서 백범과 극명하게 대립각을 보인다. 또한 그는 백범의 암살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백범은 왜 저격을 당해야 했을까. 그것은 그가 불의와 편한 길에 타협하지 아니하였기 때문이다. 그의 명성과 지명도라면 당당히 이승만과 자웅을 겨뤄서 분단된 남쪽의 최고 권력자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해방된 조국의 통일이었다. 그래서 비난과 위험을 무릅쓰고 북행을 결단했던 것이다.
세월이 흐를수록 백범의 그림자가 크게 여겨짐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백범같은 큰 정치인이 없는데 연유한다. 그래서 '백범일지'는 점점 시대의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백범일지'는 자체로서 훌륭한 전기이자 역사서이지만, 저저의 주관적 서술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늦었지만 백범의 평전이 나온 것은 환영할 만한다.
역사는 만약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만약 일제의 항복이 조금만 늦어져서 광복군이 실제로 국내로 진공할 수 있었다면 하는 아쉬움이 짙게 남는다. 그리고 남한의 점령군인 미국이 백범을 견제하지 않고 손잡았다면 우리의 비극적인 현대사는 피할 수 있었으리라는 탄식도 금할 수 없다.
이승만도 쫓겨나고, 백범도 쓰러진 오늘, 백범의 나라사랑 민족사랑의 정신은 시퍼렇게 살아있다. 그것이 이 책을 펼쳐드는 독자가 가슴 절절이 깨닫는 교훈이자 소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