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 그 내밀한 지리학
나탈리 앤지어 지음, 이한음 옮김 / 문예출판사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산 계기는 두가지에서였다. 먼저 여성 저자의 '여자'에 대한 가볍지 않은 즉, 진지한 탐구에 호기심이 일었고, 게다가 책표지에 자랑스럽게도 '전미도서상 수상작' 이라는 금박레이블이 붙여져 있었다.

근년들어 남성과 여성의 유사성과 차이성에 관하여 풀어쓴 대중서가 제법 인기를 끌었다. 이것은 그만큼 남녀의 양성이 상호간에 대해 궁금하게 여기는 것이 많다는 증거이리라. 왜 안 그렇겠는가? 인류의 절반을 각각 차지하며,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해 결합하여 또다른 남녀를 생산하는 두 주체인데.

나탈리 앤지어는 19장으로 세분하여 여자에 대한 여자의 이야기를 전개한다. 전반부는 난자, 클리토리스, 자궁, 가슴 등 육체적인 측면에서 여성의 몸을 샅샅이 재검토하고 있다. 그리고 점차 신체 내부로 들어가 여성성을 형성하는 호르몬의 작용을 살펴보고, 이어서 여성성을 인류학적, 심리학적 측면으로 확대하여 사회학적 영역에까지 이르고 있다.

앤지어는 많은 여성들이 자신들의 몸에 대하여 제대로 알지 못하기에 스스로를 사랑하지 못하다고 말한다. 창피하고 수치스러운 것, 그러기에 항상 감추고 공개하기를 꺼리는 것. 그것을 낱낱이 밖으로 꺼내놓는다. 그리고 우리(여성 및 남성)의 오해와 편견을 깨뜨리고 새로운 각도에서 조망하도록 요구한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여성 독자를 위한 책이다. 그래서일까. 나같은 사람은 때론 책장을 넘기기 불편할 정도로 적나라하게 파헤치고 서술한다.

따로 밑줄을 긋거나 메모를 하지 않은 탓에 각각의 세부적인 내용을 기억하지는 못한다. 하지만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 이 책이 '불순한'(?) 의도를 지녔음을 깨닫는다. 앤지어는 중간에 과거의 페미니즘의 잘못에 비판적 칼날을 들이대지만, 이 역시 페미니즘 저작이다.

제2의 성으로 소외되었던 여성이 스스로의 성 정체성을 발견하고 당당한 주체로서 자연과 사회에 올바른 자리매김을 하도록 일깨우는게 페미니즘이라면, 두말할 나위없이 적극적으로 동조한다. 반면, 사회적 약자로서의 여성의 피해와 박탈을 과장하고 부추겨서 그들로 하여금 남성에 대항하는 적대적 여성으로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잘못된 방향이다.

앤지어는 순수하게 생물학이라는 학문에 기초를 두고 남성성과 대비되는 여성성을 묘사하고 있다. 적어도 그렇게 보이도록 하고 있다. 여성이 생물학적으로 남성보다 우월한 제1의 성일수도 있다는 점에 반박할 생각은 없다. 하지만 차이를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기존의 가족과 사회제도에 대한 과도한 부정적 평가를 통하여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알 수 없다. 여성이 지배하는 새로운 체제를 창출하고 싶어하는지? 적어도 내게 있어 이따금씩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저자의 정치적 함의는 신경을 불편하게 만든다.

인간은 사물에 대한 지식은 많이 확보하였지만, 인간 자신에 대하여는 그렇게 많이 알고 있지 못하다. 남성 또는 여성이 여성과 여자에 대하여 지식을 확장하고 새로운 인식을 갖는데 일청할 가치는 충분히 있다. 하지만 표면적 지식을 넘어서 보다 깊숙한 데로 나아가고자 한다면 그렇게 권하고 싶지는 않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11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4.12.28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