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징비록 - 지옥의 전쟁, 그리고 반성의 기록, 개정증보판 ㅣ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2
유성룡 지음, 김흥식 옮김 / 서해문집 / 2014년 11월
평점 :
TV 드라마를 계기로 임진왜란과 이순신에 관련된 책을 계속 읽게 된다. 출발이 어떠하든 양서를 두루 접하기만 한다면 나름대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이순신과 뗄래야 뗄수 없는 중요한 존재인 유성룡, 이순신이 '난중일기'로 인간의 비극을 기록했듯이 그도 역사의 참화를 '징비록'에 담아내었다. 그리고 그들의 노고는 각각 국보 76호와 132호로 보답받고 있다.
역사에는 가정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하나의 역사적 사건은 중요한 선택의 결과로 비롯된다. 따라서 후세인들은 그당시 다른 선택이 이루어졌다면 역사의 물줄기가 어떻게 바뀌었을까를 상상하곤 한다. 복거일의 '비명을 찾아서'도 이러한 상상의 산물이다.
마찬가지로 율곡 이이가 십만양병설을 주장하였을때, 당시 임금을 비롯한 조정에서는 뜨악한 반응을 보였다. 태평성대에 무슨 연유로 군비를 강화하자는 것인가. 사림에서 율곡의 지위 때문에 그 정도로 끝났지 다른 이였더라면 필시 돌에 맞아 저 세상으로 여행갔으리라. 유성룡도 십만양병설에 반대한 이들 중 하나이다. 따라서 율곡과 서애를 결코 동급으로 평가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서애가 당시 관료들보다 뛰어났던 점은 뒤늦게나마 전화의 발자국소리를 듣고 대응에 부심하였던데 있었다.
일본에 다녀온 통신사 황윤길과 김성일의 의견이 정반대라는 점은 두고두고 우리를 당혹케 한다. 그들이 방문하고 살펴본 왜국은 서로 다른 실체였던가. 이것이 당시 선비들의 수준이자 한계였고 조선왕조가 나라를 잃을뻔한 위기에 처한 배경이기도 하다.
징비록을 처음 펼쳐든 것은 아니다. 소년시절에 청소년용으로 윤색된 형태로 접하였던 기억이 있다. 인간의 본성은 위기에 처하면 저절로 드러나기 마련이다. 평시에는 그렇게나 임금에게 충성을 맹세하던 신료들이 왜적의 소문만 듣고도 이미 도시가 텅빌 지경이었다. 부산에 상륙한 왜군이 불과 보름여만에 선조를 피난케 만들었던데서 당시 나약한 조선의 모습을 엿보게 한다. 더구나 보병들이. 지금도 서울에서 부산까지 도보로 보름정도가 소요된다고 알고 있다. 그러면 왜군은 거의 무인지경을 가듯이 국토를 휩쓸었던 셈이다. 그리고 당대의 명장이라 일컬어지던 신립이 문경새재를 버리고 탄금대 평야에서 완패한 어리석음. 적은 병력으로 스스로 총알받이가 되고 싶어 안달이 났을까. 새재에서 끝내 막아내지는 못하였더라도 시일이라도 지체시켰다면 전황이 어떻게 바뀌었을지 누가 알겠는가.
임진왜란을 다시금 되새기면서 새삼 한국전쟁과의 유사성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일거에 밀려서 거의 패망 일보직전까지 이른 점. 외국의 원군을 받아서 간신히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게 된 점. 평화협상과 동시에 곳곳에 소모전이 벌어진 점. 두번째 파상공격이 있었던 점.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하였다. 스스로 방비에 소홀한 결과는 수많은 인명의 살상과 국토의 유린, 그리고 외국에 의존하는 주체성의 상실이었다.
일국의 정승인 유성룡이 명나라 장수 앞에서 비를 맞으면 무릎꿇고 비는 장면에서 가슴속에 뜨거운 울분이 솟지 않는 이는 드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