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산해관 잠긴 문을 한 손으로 밀치도다 ㅣ 참 우리 고전 4
홍대용 지음, 김태준.박성순 옮김 / 돌베개 / 2001년 8월
평점 :
사대주의의 발로였던지 아니면 실리외교의 적극적 활용인지는 모르나 고려 이래로 우리나라는 중국에 대한 조공을 지속하였다. 고려는 송과 원에, 그리고 조선은 명과 청에. 요즘도 마찬가지지만 개인적 출장이 아닌 공무상 출장은 항상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의무화되어있다. 따라서 조선시대를 통하여 각종 중국출장보고서가 많이 남아있으며, 또 비공식적인 여행기도 다수 존재한다. 이는 새로운 정보에 목말라했던 당시의 조선 지식사회와 백성들에게는 가뭄의 단비 같은 구실을 하였을 것이다. 내가 어린 시절에 세계여행기를 읽으며 상상력과 탐험심에 불을 밝혔듯이.
홍대용은 북학파의 선구자적 존재다. 성리학의 공허함에 대한 비판이 실학의 등장배경이므로 '실사구시'야말로 그들의 모토이다. 단순한 중국 여행기가 아니라 실학자의 눈에 담긴 중국이기게 더욱 관심이 간다.
<을병연행록> 전체가 번역되었으면 참으로 좋겠지만 이렇게 부분적으로나마 출판된 것도 요새 같은 척박한 시기에는 감지덕지일 뿐이다. 대중성과는 등돌린 이런 기획을 활성화하는 방법은 정녕 없는지 안타깝기만 하다.
서울(한양)에서 육로로 압록강을 건너고 요동을 가로질러 청의 수도인 연경(북경)에 도달하여 객관에 머물다 다시 역순으로 귀국하는 과정이 물경 반년이다. 말과 때로는 가마를 타고 비포장길을 터벅터벅 걷는 모습은 불과 삼백여년 전이지만 얼마나 낙후된 시절인가를 되새게끔 한다. 육로보다는 차라리 해로를 이용하여 바로 서해를 질러가는 편이 더 빠르다고 생각하는데, 무슨 사정이 있는지 아니면 능력이 없는지 모를 일이다.
당시 중국에는 서양에서 천주교가 전파되어 있었다. 응당 천주당도 세워져 있었고 이것은 조선의 사절들에게는 커다란 관광거리의 하나였던 듯 싶다. 홍대용도 북경에 와서 천주교당 방문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더구나 그는 실학의 선도답게 과학 등 다방면에도 관심이 커서 파이프오르간 소리를 듣고 그 작동원리를 추리해내는 한편 천문대를 방문하여 서양출신 학자와 심층적인 담론을 나눈다.
이 책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바로 중국선비와의 교우관계이다. 과거에 응시하기 위하여 강남에서 올라온 엄성, 반정균, 육비와의 만남과 교류, 그리고 마음을 주고 받아 마침내 칭형제하는 모습은 국가와 민족을 초월하는 인류보편적 세계인의 열린 자세의 산풍경이다. 서로에게 아프기조차 한 충고를 서슴지 않으며 그것을 기쁘게 받아들이는 태도도 놀랍다. 시와 그림과 글을 주고 받아 서로의 정표로 삼는 것이 당시의 우의를 돈독히 하는 수단임을 비로소 알게 되었다. 특히 작별을 앞두고 눈믈을 흘리는 장면에서는 때로 의아하기조차한 게 우리들 속물의 심정이다.
홍대용은 중국이 비록 오랑캐 청에 지배당하고 있지만 그 사람과 문화는 변함이 없으므로 배우고 본받을 것은 익혀야 한다고 주장한다. 참으로 실학자다운 자세이다. 반면 여전히 그에게 있어 성리학적 세계관은 너무나도 정신세계를 압도하고 있음을 곳곳에서 알 수 있다. 청의 풍속을 좇아 머리를 깎고 복장을 달리하는 수치를 그는 만나는 중국선비들에게 계속 되풀이하여 상기시키고 있다. 이성적으로는 화이관을 극복했어도 정신적으로는 화이관의 뿌리는 깊다.
우리의 고전은 항상 골치아프고 딱딱하다고 여기는 사람에게 비록 분량이 많게 여겨질 수 있지만 그런 인식을 깨뜨릴 수 있는 좋은 책이다. 연행의 이동경로와 북경내 지도 등을 첨부하였다면 더욱 이해가 쉽고 흥미를 자아낼 수 있을 것이라는 한줄기 아쉬움도 있다. 여하튼 이렇게 자세하고 꼼꼼하게 기록을 남긴 홍대용에 대해서는 정말이지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