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과 함께 걸은 실크로드 6000km - 36박 37일 배낭여행
조대엽 지음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 2004년 2월
평점 :
절판


지은이는 평범한 치과의사라고 한다. 무척이나 여행을 좋아함을 글 곳곳에서 알 수 있다. 방콕이나 십여차례나 가보았고 인도여행도 언급되어 있고, 북경은 말할 나위도 없다. 그런 그가 이번에는 일가족(이라고 해봤자 달랑 4명)을 이끌고 중국여행에 나선다.

2001년 7월에서 8월까지 무려 36박 37일이라는 대장정이다. 일단 부럽기 그지없다. 내가 대학생일때 배낭여행은 일부 도전적인 친구들만의 전유물이었다. 당시 엄두조차 낼 수 없었고 여유있는 형편이 아니었기에 그건 그냥 머나먼 꿈일 따름이었다. 이제 여행에 관심이 슬슬 생기기 시작했을때 무척이나 아쉬운 것은 바로 '시간'이었다. 비용은 어떻게든 무리해서라도 염출이 가능하더라도 장기를 달리기에는 위험부담이 크다. 한 판 뛰고나면 사무실 책상이 사라질지도 모른다고 우스개소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니 한 달 이상의 일정은 오직 부러움의 대사일 뿐이다.

북경과 서안 까지는 일가족이 동행한다. 아직 중고생들인 아들 둘에게는 새로운 경험이겠지만 아직은 참 맛을 즐기기엔 어리지 않을까 싶다. 여행이란 내부의 자발적 욕구에 의하여 어찌할 수 없는 충동으로 떠날때 진정 재미가 있다는게 짧은 소견이다. 어쨌든 북경과 서안까지는 나름대로 단란하고 오붓한 가족의 소중한 시간을 가졌다는데 의의가 있으리라.

이후부터는 큰아들과 둘이서 행로를 밟는다. 둔황에서 투루판, 우루무치와 카스를 경유하여 파키스탄을 돌아나오는 길이다. 둔황에서 우루무치까지는 나도 최근에 다녀온 코스인지라 괜히 낯익고 정감어린 기분으로 읽어나간다. 여기서 배낭여행의 장점과 단점이 그대로 교차한다. 여유있는 시간 안배와 느긋함, 자유로운 일정 조정이 한눈에 들어오면서 아울러 내가 짧은 시간에 돌아보았던 주요 관광포인트를 상당히 놓치고 있음을 알 수도 있다. 더구나 여행경비면에서도 결코 만만치 않을텐데. 무엇보다 내가 인상깊게 여겼던 투루판을 스쳐지나간 점이 참으로 안타깝게 느껴진다.

카스에서 라호르까지는 글쎄, 이제부터는 실크로드가 아니라 파키스탄 기행기라고 해야하지 않을까? 더이상 실크로드의 흔적을 찾기는 어렵다. 하긴 낙타 대상들이 카라코람 하이웨이를 넘어간다는 것은 무척이나 힘들었을 듯.

전문 여행작가도 아닌 탓에 그의 글에는 소박함이 묻어나온다. 아울러 진솔함이 배어있다. 술을 좋아하여 프랑스청년과 고량주를 원샷하는 장면, 크나큰 기대를 품고 훈자워터를 들이켰을때의 실망감 등.

여행은 혼자 떠나야한다는게 그동안 내 지론이었다. 하지만 서로 도움이 되고 뜻이 맞는다면 누군가와 같이 다니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하는 의론이 어렴풋이나마 든다. 그것도 다름아닌 자신의 아들이라면 금상첨화가 아닐까. 매인 몸 없는 나는 막연하게 추측할 뿐이다.

그나저나 부지런히 중국어를 연마해야지. 언어를 아는 것과 모르는 것과는 천양지차임을 새삼 절감한다. 같은 동네에 산다는 사실이 더더욱 친밀감을 배가시키는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11 14: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5.8.2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