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르강튀아.팡타그뤼엘 ㅣ 대산세계문학총서 35
프랑수아 라블레 지음, 유석호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9월
평점 :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이라고 프랑스의 중세 우화내지 민담소설격이라고 해야 할까. 솔직히 미하일 바흐찐의 연구서를 읽기 위한 전초작업이라고 해야겠다. 내용은? 글쎄, 터무니없고 황당하고 적나라하다. 작품연도순은 팡타그뤼엘이 먼저지만 내용순으로는 가르강튀아가 선행한다. 아무래도 팡타그뤼엘의 아버지니까.
섣불리 펼치고 도전하는 무모한 인간은 대번에 미끄러져서 코가 깨지기 딱 쉽다. 이 작품을 온전히 이해하려면 중세시대에 빠삭한 전문가가 아니면 도저히... 수많은 각주를 읽다 보면 도대체 내가 문학작품을 읽는건지 아니면 중세의 풍속학술도서를 보는지 도저히 감이 오지 않는다. 작가의 탁월한 지식에 경이감을 감추지 못하면서 숨은 비경을 진작부터 알아차린 선구자에게도 존경의 념을 금할 수 없다.
대체적으로 난해한 편은 아니고 허황하면서도 우스꽝스럽지만 일면 교훈적인데 문제는 상징과 은유적 표현이 너무 많아서 각주를 빠뜨리면 수박 겉핥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흠, 그렇다고 두 번 읽기는 싫은데.. 하여튼 읽고 나서 뒤돌아보니 흔히 번역되는 작품에 속하지 않는 이유가 다 있었다. 단순히 불어불문을 잘 안다고 해서 대뜸 뛰어들었다간 유희의 함정에서 영원히 헤어나지 못할테니.
등장인물의 이름부터 범상치 않다. '커다란 목구멍'이라는 의미의 가르강튀아, '완전히 목마른'이라는 뜻의 '팡타그뤼엘'은 오히려 점잖은 편. 거기에 크기와 수량의 뻥튀기는 점입가경이다. 툭하면 수만개는 예사이며, 물통도 작은게 수백리터들이니,원. 압권은 '팡타그뤼엘'의 진술자이자 시종이 그의 입속 세계를 탐험한 장면이다. 입안 이쪽과 저쪽 사이는 완전히 다른 세계이며, 목구멍 안쪽으로도 거대한 대도시가 우뚝우뚝 솟아났다나. 게다가 며칠전에 먹은 마늘냄새로 뱃속에서 전염병이 되어 수많은 인명이 쓰러지게 되었다니 이렇게 황당함은 처음이다.
중세를 배경으로 했다는 점과 허풍스러움의 측면에서 움베르토의 '바우돌리노'를 연상시키지만 좀더 시사비판적이고 해학적인 면에서 라블레가 한수 위라는 생각이다. 가톨릭교리의 굴레에 갇혀있던 중세인들에게 라블레의 이 작품들은 어떠한 충격과 파격을 선사했을까? 풍자와 해학은 직설적으로 비판을 하기엔 위험한 시기에 이를 극복하는 하나의 현명한 방편이다. 마녀사냥이 난무하고 종교의 폐해가 절정을 달하던 때, 세상사를 한낱 희화화하면서 진실로 세상을 진무하는 현실은 하찮은 것에 지나지 않으면 인간 본연의 자유분방과 감정표출의 소중함을 은연중 깨닫게 되지 않을까. 엄숙주의자에게 음란하고 지저분하고 품위없게 보이는 그것이 민중들의 솔직한 삶의 태도라는, 그래서 오늘날 더욱 그 의의가 높아지고 있는 이 작품을 번역하고 출판한 이들에게 고마움을 느낀다. (이러한 유형의 책이 얼마나 팔릴지는 우리 모두 대충은 예상하고 있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