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만하몽유록 - 한국학연구소 학술총서 2
김광수 지음, 서신혜.박종훈 옮김 / 한양대학교출판부 / 2005년 6월
평점 :
절판
상업성 짙은 베스트셀러와 자기계발,어학 등 실용서 외에는 신문지면 상에서 책 광고는 본 지가 오래되었다. 그래서였는지 대학교출판부들이 연합하여 전면광고를 낸 것을 죽 훑어보니 제법 대중이 관심을 기울일 책들여 여럿 있었다.
그 중에서도 나의 눈을 먼저 끌어당겼던 것이 이 <만하몽유록>이다. '몽유록'이면 꿈에 의탁하여 작가의 소망을 거침없이 피력하는 소설계통인데. 그냥 한 번 읽고 싶다는 생각이 불끈 솟음쳐서 도서관으로 달려갔다, 마침 있다.
작가 김광수는 19세기말 20세기초를 살았던 인물이다. 삼십대 초반에 사망했으니 요절이라고 칭할만하다. 게다가 이 작품을 쓴게 불과 이십대 중반이라니 갑자기 나는 도대체 뭔가 하는 자괴감이 들기조차 한다.
그냥 조선시대의 고전소설이겠거니 하고 가볍게 집어든 게 사실은 1907년작이니, 이게 도대체 고소설인지 아니면 신소설에 포함되는지 난감하다. 아울러 옛 묵향을 느껴보려던 계획도 차질이 생긴 듯하다.
도대체 조선말 시골선비가 순한문으로 기록한 글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단 말인가. 하여튼 대출을 해왔으니 어떻게 끄적거렸는지 보기나 하자. 이런 심정으로 읽어나가기 시작했다.
'박람강기'니 '박학다식'을 들어봤어도 이러한 지독함은 처음 겪는다. 이런 젊은이가 언제 사서삼경과 제자백서, 시문 등을 두루 익혔는지 기가 막히다. 도처에 순수한 인용문과 패러디가 넘실거린다. 도대체 한문지식이 없는 사람은 제대로 음미도 하지 못하겠다. 본문보다 각주 읽기에 급급한 처지가 되버렸으니.
사실 고소설의 마지막 불꽃이 될 것인가 아니면 시대착오의 시골뜨기의 자기만족인지 우려했는데, 장이 넘어가면서 역시 시대상은 속일 수 없음을 발견한다. 여자가 대학에 가고 소위 개화되는 실정, 국제정세에 대한 지식, 패망해가는 조국에 대한 울분을 곳곳에서 피력한다. 그래서 옥황상제에게 상소를 올리나 이미 정해진 운세를 하늘이라고 어이하리오.
신선의 말과 배를 빌려타고 중국 각처의 사적과 명승지를 밟으며 감회에 젖어 시를 읊는 작가에게 능동적으로 접근하고 속여서 마침내 사랑을 얻는 옥낭에게서 진취적 여성상을 잠시 볼 수 있으나 곧 한계에 직면한다.
저자는 천성적 시인이었나 보다. 이리 다양한 형태의 시가 많이 들어간 소설류는 처음이다. 한시 한 구절 한 구절을 천천히 음미해야 참맛을 느끼겠지만, 천학한 나는 그저 한글 번역만을 스쳐지나갈 뿐이다.
몸이 약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 시기의 다른 지식인들이 선택한 길을 그는 걸어갈 수 없었을지도 모른다. 나약함에 몸을 떨었는지도. 그렇지만 이 책에서 문학의 향기가 배어나오지 않는다. 작가가 토해내고 싶은 시대적 격정은 몽유록이라는 형식과 순한문이라는 굴레를 벗어나지 못했다. 그래서 안타까움을 느낀다. 감동을 받지 못함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