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고발한다 - 해제ㅣ드레퓌스 사건과 지식인의 양심 ㅣ 책세상문고 고전의세계 47
에밀 졸라 지음, 유기환 옮김 / 책세상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서가를 뒤져보니 에밀 졸라의 소설로는 <나나/목로주점>이 겨우 하나 있다. 읽어봤냐고? 물론 아니다. 그만큼 에밀 졸라는 흥미가 당겨지지 않은 작가인 것이다. 자칭 자연주의라고 지칭한 프랑스 사실주의 문학의 대가. 내게는 명성만이 자자한 대가라고나 할까.
사실 이 책의 구입동기도 다소 불순하다. 구로CGV로 영화를 보러갔는데, 주차비 면제 받기 위하여 북스리브로에서 그냥 저렴한 가격의 책을 한 권 구입한 따름이다.
프랑스, 아니 서양에서 크게 언급되는 드레퓌스 사건에 대하여는 그저 이름만 접하였었다. 유대인 장교가 간첩혐의로 체포되었는데, 유죄여부를 둘러싸고 찬반여론이 격심하였으며 특히 지성계가 발칵 뒤집혔다는 정도. 이제 드레퓌스 사건의 한복판에 섰던 에밀 졸라의 글을 보게 되었다.
정권이 정통성을 지니지 못할수록 강압과 폭력에 의하여 권력을 유지하고자 하는 속성이 강하다. 우리나라의 과거와 다른나라의 사례는 새삼 이를 입증하고 있다. 그리고 반체제,반정부세력을 탄압하기 위하여 각종 조작사건을 많이 벌인다. 수많은 간첩단 사건, 선거철만 되면 나왔던 안보위기 등.
100여년 전의 프랑스도 이에 덜하지는 않았던 듯 싶다. 그래서 유대인 장교에게 간첩죄를 부과했던 것이다. 명확한 물적 증거도 무시한 채. 그래도 20세기 후반의 우리나라와 다른 점은 활발한 지성의 개입이 있었다는 점이다. 에밀 졸라를 필두로 한 소수의 양심파 지식인은 정부의 여론조작과 군중심리에 현혹되지 않은채 냉철한 시선으로 사건의 본질을 폭로하였다. 그것이 자신 개인의 불이익으로 귀결되는 여파를 맞을지언정.
새삼 에밀 졸라를 다시보게 된다. 사회적 명성을 한껏 누린 명망있는 작가가 여론 일반에 반대하여 소신을 펼치기는 쉽지 않다. 십여년 동안 에밀 졸라는 사회적, 경제적 위기를 겪었고, 해설에 따르면 죽음조차도 타살의 의심이 짙게 드리워진다.
일반 언론에 본인의 의견을 피력할 수 없자 팜플렛을 제작하여 배포할 수 있는 용기. 당당하게 대통령에게 고발장을 공표할 수 있는 신념. 그에게서부터 비로소 '학자'와 '지식인'을 구분할 수 있게 되었다는 사르트르의 헌사는 과언이 아니다.
나는 언제나 진정한 지식인이 될 수 있을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