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본의 서양문화 수용사 ㅣ 살림지식총서 187
정하미 지음 / 살림 / 2005년 7월
평점 :
서양문명과의 접촉에 있어 일본은 확실히 우리나라보다는 유리한 환경을 지니고 있었다. 우리에게 낯선 경험이었던 벨테브레와 하멜이 표류당하기 오래전에 이미 포르투갈과 네덜란드 등과 지속적 교류를 갖고 있었음은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것이 그들에게 행운이긴 했지만, 결국 행운을 수용할 자세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침탈 내지 재앙이 되거나 무조건적 거부현상으로 귀결되었을 것이다. 역사에 가정은 없다고 하지만 당시 조선에서 개방적 자세가 나올 수 있었는지는 의심스럽다. 소중화 사상에 젖어서 오히려 강국 청나라조차 무시하던 조선이다. 그들에게 외모가 다르고 언어가 상이한 서구인은 신기한 하등동물에 지나지 않는다.
미국 페리제독이 일본에 오리라는 정보를 그들이 이미 알고 있었고 대비를 하였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다만 대비라는게 진지를 구축하고 대포를 생산하는 차원이 아니라 외국어 통역관을 급히 나가사키에서 에도로 옮긴 것이라는 점. 그리고 페리제독이 그렇게 무력시위를 할 줄을 몰랐을뿐.
별사탕, 카스텔라, 단팥빵 등 민중적이며 친숙한 소재를 매개체로 일본에서 서구문명이 유입되고 수용디는 과정을 압축하여 소개하고 있다. 다이묘와 막부는 자국이 이익이 되기에 그들과의 교류를 허용했다. 물론 철저한 관리하에서. 그것이 통치에 장애요인이 되면 단속을 한다. 기독교 금교처럼.
특정 이데올로기에 지배당하지 않는 자유로운 영혼이 폭넓은 개방성과 긍정적으로 결부됨을 보여준다. 역으로 그것이 20세기 전반에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되었던 출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