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첩
이풍익 지음, 이성민 외 옮김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비석의 '산정무한(山情無限)'이라는 금강산 유람기가 있다. 교과서에도 실릴 만큼 명작이다. 난 이 작품을 읽을 때면 작가가 느꼈을 웅장하면서도 형언할 수 없는 감흥의 편린이나마 내게도 전이되는 것을 느끼곤 한다. 그래서부터 금강산 여행은 어릴적 부터 나의 지고한 꿈으로 자리잡았다. 작가처럼 금강산철도라면 금상첨화일텐데.

상전벽해가 되어 이제는 연중 수시로 금강산 관광을 떠날 수 있는 시절이 되었다. 물론 금강산 전체는 아니고 개방이 허용된 몇몇 구간을 그것도 가이드의 엄중한 안내에 따라야 한다. 그래서 아직 금강산을 보고 싶은 바램을 억누르고 있다. 금강산을 이리 섣부르게 대우하는 것은 격에 어울리지 않는 실례가 아닌가.

<동유첩>의 저자 이풍익은 의외로 오래된 사람은 아니다. 19세기 전체를 아우른 그야말로 복많은 인물이다. 말년에는 외세의 침탈의 단초도 겪었으리라.

당시 유행처럼 이풍익은 금강산 유람을 떠난다. 그리고 약 한달간의 여정을 마치고 돌아와 글과 시, 그림을 엮어서 하나의 시문화첩을 만들었다. 원본에 충실을 기하기 위하여 이 번역본도 장정이 남다르다. 일단 규격도 다르며, 지질도 고급지를 사용하고 일부는 한지도 썼다고 하니. 화첩에 어울리게 글과 시와 그림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누워서 금강산을 유람할 수 있도록 배려한 모습이다.

21세의 약관을 갓 넘긴 연치의 저자에게 금강산이 어떤 모습으로 다가오고 무슨 감회를 느꼈는지 궁금하다. 해설에서는 단순한 유람이 아니라 교육적 여행이 선비들의 전통이라고 하던데.

사실 금강산을 한 번도 가보지 못한 내게는 구구절절한 글월 묘사보다는 한 점의 그림이나 사진이 더욱 다가온다. 처음엔 본인이 그린 그림인 것으로 생각해서 정말 그림도 잘 그리네 속으로 감탄하였다가 아니야 화공을 데려간 모양이라고 짐작했다. 나중에 해설을 보고서야 사후에 화공으로 하여금 그리게 했던 모양이고, 화원이 김홍도를 모사하였다고 하니 재밌는 스토리다.

어쨌든 귀에 익은 지명과 낯선 지명이 머리속을 바쁘게 하는 가운데, 젊은 저자는 물을 넘고 산을 넘어서 금강산 깊숙이 들어간다. 그리고 곳곳에서 읇조리는 싯구. 처음엔 이 시를 본문처럼 묵독을 하며 지나가려고 하였다. 그런데 역시 시는 소리내어 읽는게 아무래도 제맛같다. 처음엔 어색하고 어조를 조절하기 힘들었는데 점차 마음과 정서마저 안정되어 머릿속이 맑아온다.

여행은 몸으로 체험하며 배우는 길이다. 따라서 고생이 많을수록 깨치는 바도 많게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저자가 얼마나 깨쳤는지는 자못 의심스럽다. 산길을 오르내릴 때 놀랍게도 젊은 저자는 본인의 두 발이 아니라 가마(!)를 타고 대부분의 길을 다녔다. 보라, 평지도 아닌 산지에서. 그럼 가마꾼은 누구였던가? 힘좋은 머슴이나 전문가마꾼으로 속단하지 말라. 바로 스님들이다. 세상에 여전히 사농공상과 사대부 계급의식이 뿌리깊게 젊은 저자의 몸을 휘감고 있음을 여기서 알게 된다. "도저히 올라가지 못할듯 가파른 길에서"조차 가마에 의지하다 너무나 위험천만해져서야 "하는 수 없이 가마에서 내렸다(168면)". 이 부분을 읽으면서 저자의 이전 시문과 후의 감회가 모다 위선적으로 들리게 되고 말았다. 여기서 무슨 '호연지기'가 피어날 수 있다는 말인지.

이 책 <동유첩>은 여유로운 사대가의 한 자제가 금강산을 노닌 후 그 증거를 남겨서 시문화첩으로 만든후 동년배들끼리 즐기기 위해 만든 분명한 목적을 지닌다. 따라서 그 자체로서는 꽤 괜찮은 편이다. 일독 내지 일람할 의의는 충분히 있다.

하지만 아쉬움은 예나 지금이나 이러한 책을 구입할 독자가 몇이나 될까 하는데 있다. 후반부에 원문을 영인본과 같이 수록하였는데 좋은 지질과 더불어 책가격을 높이는데 일조하고 있다. 양서는 널리 보급해야 비로소 그 가치가 있다고 본다면 이 책 역시 세상에 존재한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만큼 대중적이 되기에는 너무 높은데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08 2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6.1.28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