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여행가방 - 박완서 기행산문집
박완서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12월
평점 :
약력을 살펴보니 박완서도 벌써 70이 훌쩍 넘겼다. 우리나라의 원로급 문인인 그의 작품은 단편 '엄마의 말뚝'을 읽어본 게 전부다. 그나마도 뾰족한 인상을 받지 못하였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도 자체가 흥미로울 것 같아서 선뜻 구입한 것은 아니었다. 단지 1+1이라 부담되지 않는 가격에 장편소설 <아주 오래된 농담>도 더불어 습득할 수 있다는 물욕 탓이랄까.
소싯적에 지리학자가 되어 세계 방방곡곡을 유랑하고 싶어하였다. 그래서 틈만 나면 각국 정보를 소개한 책이나 세계여행기를 탐독하곤 하였다. 아직도 박찬삼의 글이 마음 한구석에 깊이 남아있다. 이제 우리나라도 여행자유화가 되고 인천공항이 북새통이 될 정도로 해외로 떠나는 인파를 이루고 있으니, 해외여행기라는 것은 우스운 일이 되고 말았다. 쓰는이도 읽는이도 드문 과거의 유산.
그러면 여행기는 아무 존재의의가 없는가에 대한 하나의 답변이 이 책이 될 수도 있겠다싶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낯선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 대신 겉날리지 않는 속깊은 감상과 사색을 공유하는.
이 책은 많은 결점을 지니고 있다. 출생의 비밀이라는 TV드라마의 상투적 설정처럼. 4부 12편의 글이 실려 있지만 제대로 된 여행기는 4편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그럼 나머지는...부족한 분량을 채우기 위한 필업(fill-up) 정도일뿐. 중국/백두산 기행, 에티오피아 방문기, 티베트 기행, 카트만두 기행이 메인이며, 특히 후자 2편이 핵심으로 전체 분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백두산, 우리 민족이라면 누구도 백두산이라는 단어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백두산 자체가 내뿜는 카리스마와 아울러 백두산 가기 위한 머나먼 여정과 도중에 마주치는 또다른 삶. 거기는 상실한 우리 역사와 현실이 두눈 부릅뜬채 지나는 이들을 지켜본다. 그래서 작가는 '좋은 울음터'라고 지칭했나 보다. 나는, 아직 백두산에 갈 엄두를 내지 못한다.
티베트는 내게서 멀리 떨어진 지명은 아니다. 언젠가 한번은 꼭 가봐야지 하는 필연 탐방코스로 점찍은 곳이다. 카트만두는 어떠한가. 못지않은 인도에 대한 열망을 식힌 적이 결코 없다, 나는.
티베트는 작년에 갔다온 실크로드처럼 중국 본토가 아닌 지금은 자치구로 되어 있는 중국 속의 타국이다. 숱한 우여곡절이야 어이 필설로 형언할 수 있겠는가마는 아직도 달라이 라마는 인도에서 망명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티베트가 독립할 수 있는 가망성은 거의 없다. 중국에 천지개벽하는 정변이 발생하지 않는한. 형과 아우의 노래를 통하여 달라이 라마와 판첸 라마의 관계에 대해 새삼 인식을 새로이 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행과 관광은 추구하는 목적으로 구분된다. 해외여행이 있는자에게 일상사가 되버린 시점, 정말로 궁금하다. 이것이 참말 여행인지 아니면 관광인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