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 - 400여 년 전, 조선과 일본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나
정장식 지음 / 고즈윈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수년간 불고 있는 한류의 실체와 영향이 진실로 어떠한지는 참으로 궁금하다. 한류는 일개 바람에 그치는 환상에 불과한게 아닐까싶기도 한데.
'에도시대 일본에는 이미 한류가 있었다'는 표지 문구가 신선한 동시에 상업성을 물씬 풍기는 이 책은 의외로 진지하며 유익한 내용을 가득 담고 있다.
임진왜란 이후 메이지유신까지 조선과 일본의 외교관계는 대체로 평화기조를 유지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리고 몇차례 통신사를 파견하여 우호 교린을 확인하였고.
이 책은 바로 12번이나 파견되었던 통신사 일행의 사행 전반을 아우르고 있다. 사행의 배경과 경과, 양측의 대응 등 그동안 우리의 관심사밖에서 방치되었던 분야인 동시에 양국관계를 생각한다면 소홀히 다루어졌던 분야이기도 하다.
임진왜란의 충격이 막심하였음은 충분히 짐작할 만하나 그 정신적 외상이 그렇게 오래 끈질기게 남아있을 줄은 미처 몰랐다. 통신사의 사신들은 일본의 경제력과 무력에 놀라면서도 단지 '오랑캐'라는 케케묵은 단어에 집착하는 태도를 초지일관하였다.
허망하기 짝이없는 오랑캐의식으로 병자호란의 치욕마저 감내해야 하였으면서도 실력을 배양하는 일에 관심이 없었던 심약한 조선의 사대부. 그들은 외적인 무력감을 내적으로 위안받고자 하였다. 그게 바로 소중화사상이었던 것이니 참으로 가련한 작태였다.
겉으로는 일본의 무력에 겁을 집어먹으면서도 오로지 상국의 논리에 집착하며 협박에 굴복하면서도 대국의 양보로 포장한 가식적인 행동이 이 책에서는 그대로 묻어난다. 오죽하면 일개 대마도조차도 가운데서 조선을 농락하였단 말인지. 참말로 임진왜란 이후 조선후기 역사는 치욕적인 면을 너무도 많이 발생시키고 있구나.
조선과 에도막부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통신사가 시작되었고 이제 필요가 없어졌기에 일본은 통신사 파견을 요청하지 않게 되었다. 그것은 그만큼 일본에서 조선의 가치와 비중이 현저하게 약화되었던 것이다. 일본에게는 엄청난 물력과 힘으로 들이닥치는 서양세력이 보다 중요하게 되었고 이제 조선은 일개 향후의 먹잇감일 따름이었으니.
통신사의 시말은 오늘날까지 많은 시사점을 안겨준다. 열린자세로 타국의 나쁜점을 버리고 장점을 취하여 이용후생할 수 있었더라면 오늘의 우리역사는 다른 길을 걷고 있을 것이며 대일관계도 보다 당당할 수 있으련만. 문제는 그것이 한낱 과거에 국한된 경우가 아니라는데 있는데 아는지 모르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