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왕실의 탄생 ㅣ 살림지식총서 86
김현수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일단 책표제를 '유럽왕실의 탄생'이라 하였지만, 저자가 중점적으로 다루는 분야는 영국 왕실의 탄생이다. 이러한 점만 유의하여 두껍지 않은 책을 살펴나가면 흥미롭게 볼만한 가치가 제법 있다.
유럽왕실의 뿌리는 게르만왕국인 프랑크왕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프랑크왕국이 베르덩조약과 메르센조약으로 오늘날의 프랑스와 독일로 분할되며 이 테두리는 여전히 유효하다. 결국 독일과 프랑스의 다툼은 공동의 선조를 둔 자손들간의 갈등인 것이다.
영국의 게르만족인 앵글로색슨족은 자생적으로 유럽의 주력세력으로 자리잡지 못하고 노르만공국의 정복왕 윌리암에 의하여 지배세력이 교체당하였다. 노르만공국의 바이킹의 일파이니 곧 프랑스와 영국과는 다른 왕국의 출발선상에 놓인 셈이다. 현대의 영국 왕실은 노르만왕조의 후손들이다.
노르만에 의한 영국 정복이 있었다는 史實은 역사책에서 익히 보았지만 그 과정은 잘 알지 못하였다. 이 책에서는 정복세력과 토착세력의 혈투인 헤이스팅스 전투를 상세히 소개하면서 그 전투의 의의를 크게 부각하고 있다. 왜 중요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우리나라에서 일제에 의한 조선왕조의 패망 이후 왕실의 개념은 소멸되었다. 조선말 혼란과 집권층의 무능에 크게 상심한 민초들에게 해방 이후 왕실이 등장할 여지는 전혀 없다. 비록 요즘 TV 드라마에서 만약 조선왕실이 현재에도 존속하는 것을 가정한 <궁>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서도.
무수한 해외토픽을 통하여 유럽과 아시아의 왕실의 에피소드가 낱낱이 소개되고 있다. 다이내나 황태자비의 비운의 죽음을 말할 것도 없고 일본 태자비의 아들낳기 노력도 멀찌감치 지켜보는 우리네야 우습기 그지없지만 당사국은 절박한 심정인 모양이다.
대다수의 선진국에서 왕실은 상징적 존재이다. 그들은 자의 내지 타의에 의하여 직접 통치의 전면에 나서지 못하게 되어 있다. 그들에게 남은 건 순전한 명예와 부라고나 할까. 우리가 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잠재의식 속에 나도 그렇게 되었으면 하는 심정이 자리잡고 있는 탓이다. 어린아이의 가슴속에는 가난한 부모 대신 부자 부모에 대한 환상이 숨어 있다고 한다.
역사 속의 왕실은 권력과 폭력에 의하여 자신을 다른 계층과 구분지었다. 비록 다른 방식이지만 오늘날 특수한 계층은 여전히 존재한다. 그것은 지속적인 금력에 의존하니, 곧 재벌이다. 대통령은 5년 뿐이지만 재벌 총수는 수십년을 이끌어간다. '삼성공화국'이니 하는 말이 다 거기서 유래한다. 솔직히 말해서 삼성그룹의 총수가 옛날 왕을 부러워할 필요는 전혀 없다. 수많은 신하들이 임금 앞에서 벌벌 떨었던 것처럼 수십만명의 임직원이 일개인 앞에서 허리를 굽힌다.
인간이 사는 한 그 양태는 달리하더라도 모든이가 평등을 누리는 사회는 오지 않는다. 그래서 '왕실의 탄생'은 유럽에 국한하지 않고 반복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