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갈리아 전쟁기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지음, 김한영 옮김 / 사이 / 2005년 7월
평점 :
카이사르(시저,케사르)는 무려 2,000여년도 더 옛적 인물이다. 기원전 거인의 육필기록을 이렇게 접할 수 있다는 사실조차 경이로운데 하물며 그 내용의 충실성은 되새김질하고 싶게 만든다.
기존까지 내게 알려진 카이사르의 윤곽은 그저 로마공화국에서 제정을 시도하려다 공화파에 의해 암살당한 정치가 이게 전부이다. 물론 "주사위는 던져졌다"와 같은 경구는 익숙하지만.
하지만 이 책을 통해서 카이사르가 얼마나 대단한 위인인지 그가 단지 운이 좋아 로마최고의 자리에 올라섰던게 아니었음을 새삼 깨닫게 만든다.
그의 나이 사십대를 몽땅 쏟아부은 갈리아 정복전, 그것은 정치적 라이벌들에 비하여 군사적 업적이 상대적으로 취약했던 카이사르가 인생을 걸었던 모험이었다. 상대는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은 갈리아인들. 당시의 갈리아는 오늘날 프랑스 전체와 플랑드르 및 독일 일부와 스위스를 아우르는 거대한 영토였다. 이탈리아 본토와 스페인, 발칸지역 그리고 소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부를 차지한 로마인들에게 지중해를 둘러싼 일부 틈새를 메꾸어 명실공히 '로마의 호수'로 삼고 싶은 욕구는 지극히 당연한 것이리라.
어쨌든 카이사르는 과감히 갈리아로 진출하였다. 그리고 갈리아 부족들간의 갈등과 역학관계를 조정하여 강약 전법을 교묘히 구사하여 숫적으로 지리적으로 불리한 정복전을 성공적으로 끝내었다. 그리고 곧바로 브리타니아로 진격하였다. 한때 세계를 지배하였고 여전히 유럽문명의 핵심을 자랑하는 영국인, 프랑스인, 독일인은 로마의 갈리아정복에 대하여 감사의 심정을 품고 있을지 궁금하다.
누구나 자유와 재산을 침탈당하면 그대로 가만히 있지는 않는게 인간사의 법리다. 갈리아인에게 로마인의 고향을 침입한 적국의 군대이다. 그들이 강력한 저항투쟁을 벌이는것 또한 응당 그럴법하다.
카이사르의 탁월함은 단순히 전쟁사령관이 아니라는데서 오히려 빛을 발한다. 그는 군대를 지휘할 뿐 아니라 고도의 심리 외교전을 수행하며 동시에 갈리아인들에게 교역을 확대하여 로마의 지배를 받는게 실익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며 대개의 경우 너그럽게 항복한 이들을 처리하여 인망을 높이 쌓는다. 힘과 덕망이 갖추어진 지도자에게 고개를 수그리는 것은 부끄럽지 않은 법. 그래서 갈리아인들은 로마가 아니라 카이사르에게 항복하였다. 그래서 훗날 카이사르와 폼페이우스가 치열한 내전을 전개할 때도 카이사르에 대한 충성을 유지하였다.
참으로 놀랐던 점 한가지는 로마군의 무시무시함이다. 체격이 상대적으로 거대한 갈리아인과 게르만인을 상대해서 막강한 보병 공격격를 발휘한 로마인들이 당시 서구세계를 지배하고 수세기 동안 지배했던게 결국 다 연유가 있음을 보여준다. 게다가 공성작전을 벌일때의 수 킬로미터에 달하는 방벽을 쌓거나 진지를 구축하는 무모하다시피한 전략이 수시로 채택되는 것을 보면 당시의 갈리안인들의 기막혔을 표정이 상상이 간다.
결국 카이사르는 갈리아와 브리타니아를 복속시키고 폼페이우스와 일전을 벌인후 로마 최고의 지위에 오르며 각종 개혁정치를 펼치다가 비운의 칼날을 맞는다. "브루투스, 너 마저도..."로 유명한 그의 최후는 이제껏 공화파와 제정파의 갈등으로만 이해하였던 게 사실이다. 그래서 브루투스는 공화정을 수호한 뛰어난 인물로 회자되었다.
그런데 당시는 공화정의 감내할 수 없는 누적된 위기를 겪고 있었기에 공화정체제는 무너질 수 밖에 없었다는 점을 해설을 통해 인식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브루투스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한 원로원파의 수단에 불과한게 아니었을까. 만약 카이사르가 그대로 성공적인 개혁정치로 로마를 이끌어갔다면 그후의 옥타비아누스와 안토니우스의 또다른 내전의 불꽃은 불붙지 않았을 것이며 로마의 미래도 달라지지 않았을까 하는 짙은 의구심이 상상의 똬리를 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