댈러웨이 부인 버지니아 울프 전집 2
버지니어 울프 지음, 정명희 옮김 / 솔출판사 / 2006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등대로>에 이은 울프 두번째 소설이다. KTX에 놓고 내린 <자기만의 방>을 포함하면 세번째 도전에 해당한다. 울프는 만만한 작가가 결코 아니다. 역자의 해설을 통해 보더라도 울프는 자신을 지적인 작가로 각인시키려고 노력했던 듯 하다. 당시의 일상적인 여성작가와는 구분되는.

울프 글은 먼저 뚜렷한 플롯 내지 스토리가 부재하다. 이를 서사구조의 파괴라고 하는데 지난 세기 초에 등장하였던 소위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한 연유다. 외적인 사건은 이제 부차적 역할을 수행할 뿐이요 인물 내면의 사고와 의식이 수면에 떠오른다. 따라서 시간과 공간적 배경은 단순해지게 되었다. 누구처럼 하루 동안의 배경으로 장편 소설을 뽑아낼 수도 있는 것이다. 비록 울프는 그리 극단은 아니지만 마찬가지로 <댈러웨이 부인>도 시간적으로 이틀 정도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이 작품은 수미일관한 일개 흐름을 지니고 있다. 댈러웨이 부인(클러리서)에게서 셉티머스 부부, 피터 월쉬 등으로 작가의 관심은 마주치는 인물의 내면세계로 헤엄쳐 들어갔다 불쑥 빠져나온다. 나비가 꿀을 찾아 이 꽃에서 저 꽃으로 날아오르듯이. 어느책에서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의 구조성을 비판하는 주장에 대한 반박을 이와 같이 묘사한 글을 읽은 적이 있다. 결코 마르지 않는 꿀물을 찾아 헤매는 한마리 나비. 여기서 구조와 형식을 논하는 것은 감성이 메마른 자의 부지없는 미련일 뿐.

오랫동안 울프는 페미니즘 문학으로 치부되어 왔다. 그것이 내가 울프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것이기도 하고. 이제 그 시각은 바뀌었다고 하지만 그렇더라도 권두언처럼 울프의 문학이 '인간주의 문학'인지는 잘 모르겠다. 분명히 <등대로>에 비하면 기법적으로 원숙해 졌지만 문학적 감흥은 일지 않는다. 느끼는 문학에서 이해하는 문학으로의 변모를 따라가지 못하는 나의 한계인 듯. 그래도 문학에 소위 재미가 빠지면 사람들은 문학을 왜 읽는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이 제기된다.

권말해설은 '삶과 죽음의 화해로운 공존' 이라고 하여 속물로 간주당하기도 하는 클러리서와 전쟁의 상흔으로 괴로워하는 셉티머스의 엇갈린 삶의 행로를 비교하여 이것을 작품의 주요한 모티브로 여기고 있다. 그리고 클러리서가 피터 월쉬 대산 리차드를 택하여 댈러웨이 부인이 되는 것을 제국주의를 거부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작가가 진정으로 이러한 주제의식을 품은채 글을 썼는지 알 수 없다. 아니면 꿈보다 해몽이라는 속담이 적중하는 경우.

작품중에서 셉티머스도 피터 월쉬도 그리 긍정적인 인간형으로 그려지지 않는다. 차라리 리차드가 단순하지만 상대적으로 건전해 보인다. 마찬가지로 킬먼양에 비하면 그녀가 속물로 미워하는 댈러웨이 부인은 독립성을 가지고 본인의 인생을 선택하였으며 그 선택에 최선을 다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므로 당당한 안주인으로의 자태로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황홀함'을 자아내는 것이다. 이런면에서 울프는 페미니즘을 모더니즘과 결합시킨 인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08 19: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6.12.8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