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막간 ㅣ 버지니아 울프 전집 7
버지니아 울프 지음, 정명희 옮김 / 솔출판사 / 200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두껍지 않은 분량에 여유로운 행간이었는데 완독에 의외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스토리가 복잡하지도 않은데.
사실 스토리 자체는 단순하다. 연극 상연과 그 전후로 포인쯔홀 사람들의 행동과 심리를 그리고 있다. 스토리가 단순한만큼 오히려 내용의 복잡성은 만만치 않다. 작가의 말처럼 "새로운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이는 전작들에서 한두 걸음 더 나아간 것이다. 그 독창성 여부에 대해서는 해설에서처럼 논란이 있지만 적어도 작가의 작품에만 국한하자면 구성 해체에는 성공한 듯 싶다. 한 문장도 쉽사리 독파를 허용하지 않는다. 문장 하나하나가 싯귀처럼 깊은 함의를 지니고 있다. 더우기 평범한 대사와 혼재된 고전의 무수한 인용은 영국 문학에 대한 지식없이는 혀를 내두르게 만든다. 그런 면에서 각주라도 인용의 출처를 밝혔으면 하는 한줄기 아쉬움.
이쯤에서 작품의 의도가 궁금하다. "나를 버리고 우리로 대치하자"라고 작품 구상에서 언급했다고 한다. "우리가 비록 다른 역할들을 행하지만 똑같다"는 목사의 연극 총평이 이를 가리키는가? 여기서 우리는 적어도 획일적인 의미를 지니지는 않을 것이다. 각각의 개성과 차이가 인정되고 존중되는 우리. 2차세계대전이 광분하는 시절. 나치와 파쇼가 전횡하는 시기. 그것은 소박하지만 절실한 바램이었을 것이다. 연출자 라 트롭양이 일탈의 존재로 묘사되지만 부정적으로 여겨지지 않는게 그런 연유다. 담배를 피워대며 술집에 들어가고 동성애자("침대와 지갑을 같이 썼던")임에도 말이다.
'막간'은 말 그대로 막과 막 사이를 가리킨다. 결코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부분이 아니다. 연극이 상연되는 동안 관객은 자신을 잊고 무대에 빠져든다. 사이버 공간의 실재화, 반면 막간에서 사람들은 다시금 일상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그러면 무대위와 아래 중 진정한 삶의 반영은 어디일까? 비약한다면 어디가 꿈이고 어디가 현실인가, 누가 나비고 누가 장주인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작가가 최종적으로 타이틀을 변경한 것은 가벼운 변덕이 아니라고 믿고 싶다.
버지니어 울프의 대표작은 대개 <등대로>와 <댈러웨이 부인>을 꼽는다. 그만큼 이 작품은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다. 즉 탁월한 작품에는 성공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작가가 의욕에 지나치게 충만하여 작품의 구조 해체에 치우쳐 문학 자체의 본질 획득에 실패한 데 연유가 있다고 생각한다. 문학은 다른 무엇에 앞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곱씹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