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8 - 중종실록, 조광조 죽고... 개혁도 죽다! ㅣ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8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6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사무실 동료가 한 번 보라고 주어서 그 존재를 비로소 알게 되었다. 단순한 축약본이 아니라 만화 형태이므로 딱딱함을 싫어하는 사람에게 환영받을 만하다.
조선왕조실록은 "한글로 번역할 경우 320쪽짜리 책 413권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이다. 이를 축약하여 전달하고자 하면 불가피하게 편집자의 자의성이 개입되는데, 이게 때로는 약이 되지만 독이 되는 경우도 배제할 수 없다. 따지고 보면 내가 <이문열 평역 삼국지>를 싫어하는 것도 그 지나친 자의성이 거슬렸던 탓이다. 어쨌든 저자는 방대함 중에서 정치사에 한정하여 작가의 주관적 개입이 도저할 것이라고 일찌감치 선언하였고 그 결과는 꽤나 흥미로웠다.
역사적으로 중종시대는 사화로 물든 시기의 한복판이다. 반정으로 등극한 중종은 실권이 없어 공신들의 눈치를 살펴야 했고 이를 견제하기 위하여 조광조를 중용하다가 다시 이를 내치다가 마침내는 김안로라는 희대의 간신을 잉태하고 말았으니 그야말로 혼돈의 극치였다. 작가는 이와같이 반정공신세력과 조광조, 김안로로 이어지는 시대 흐름을 종축으로 삼고 중종의 심중을 횡축으로 삼아 당대 정치사를 명쾌하게 그리고 있다. 모델링의 장점이 바로 현상의 단순화를 통한 이해의 증대가 아니었던가.
작가의 말마따나 중종에게는 성군이 되어 태평성대를 이루겠다는 아무 욕심이 없는지도 모른다. 신하에 의해 쫓겨난 임금, 이는 언제든 자신도 해당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종에게는 왕좌를 지키는 일이 무엇보다 중차대한 과업이며, 조광조는 주군을 잘못 선택한 것이다. 향년 38세의 나이, 며칠후면 내 나이가 그리 된다. 조광조는 비록 이상을 실현하지 못하고 저세상으로 갔지만 후대에 성인 소리를 들으며 역사에 큰 자취를 남겼으니 무익한 생은 아니리라.
작가의 쾌도난마에만 함몰되지 않는다면 무척 흥미롭고 유익하게 볼 수 있다. 문득 작가의 나머지 책들도 손에 들고 싶다. 그나저나 도서관에 비치되어 있으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