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우리 역사 바로잡기 1
이덕일, 김병기, 신정일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몽>을 필두로 한 일련의 최근 드라마는 고대사에 대한 오랜 열망에 다시금 불을 지폈다. 그래서 이 책 저 책을 구입하거나 도서관에서 빌려 보고 있는 중이다.

아직도 우리 교과서는 고조선의 주무대가 한반도 내이며, 마찬가지로 한사군의 위치도 국내로 비정하고 있다. 뿌리깊은 인식의전환은 그리 쉽지 않음을 강하게 알 수 있는 장면이다. 이러한 인식의 밑바탕은 조선 후기 소위 소중화사상에 젖은 고루한 유학자에게 연원이 있지만 일제식민사학자에 힘입은 바가 더욱 크다. 해방후에도 한동안은 큰 변함이 없었는데 나도 어릴적에 이와같은 내용을 철썩같이 믿고 줄줄 외우다시피 했었다. 좋다, 모든걸 긍정하는 의미에서. 과거에는 학문의 연수고 길지 않았고 깊이도 깊지 않았다. 그러니 그런 설익은 가설이 역사적 진실로 수용될 수밖에 없었음을. 하지만 최근들어 눈부시게 발전한 학문연구의 성과마저도 외면한채 수구적인 자세로 일관하는 것은 과연 어떠한 학문의 자세인가.

개인적으로 작가 이덕일에 대해서는 감탄하지만 사학도 이덕일에 대해서는 조금 우려하고 있다. 그것은 그가 다작을 넘어 남작을 하는게 아닌가하는 걱정 탓이다.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에서의 감탄은 <장군과 제왕>에서 의아함으로 바뀌었고 슬쩍 들쳐본 다른 책들을 통해 그의 글쓰기 스타일을 알게 되었다. 확실히 대중이 호감가게 만드는 그의 능력에 감탄한다. 전문적인 내용을 평이하게 변환하는 기술, 핵심내용의 지속적 반복을 통한 각인 기법, 그리고 무엇보다도 인물이나 사건의 종횡적 배경에 대한 폭넓은 이해력 등. 그럼에도 일개인이 모든 영역을 커버할 수는 없는데 하는 아쉬움. 그래서 <장군과 제왕>에서 뭔가 허전함을 느꼈다. 그의 초기작에서 뿜어나오는 열기와 광채가 안 보이기에. 그래서 이 책의 구입을 망설이기도 하였다.

<고조선의 강역을 밝힌다>(윤내현)를 앞서 읽었기에 자연히 비교가 된다. 확실히 이 책은 보다 대중친화적이다. 어떤 의심스런 점에 대해서 끈질기게 물고 늘어져 해답을 구하기 보다는 문제의 소지를 밝히고 으심나는 부분의 근거를 일정 부분 던져놓고 최종 판단은 독자에게 맡긴다. 그리고 보다 깊은 내용은 전문연구서를 보도록 유인한다.

뿌리없는 민족은 역사의 미아가 되기 마련이다. 그래서 세계 각 민족은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세계화 시대에서 정체성은 더더욱 존재의의가 커지는 것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이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그저 현재 지배하는 강역에 대한 정당화 작업일 뿐이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어쩌면 중국의 속내는 압록강을 넘어서는데 있다는 주장에 코웃음치기가 두렵다.

이 책 자체로는 다소 미진한 면도 있지만 우리 고대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는데 일조한다면 충분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11-08 1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7.1.9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