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과 6펜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서머셋 모옴의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작이다. <인간의 굴레>와 쌍벽을 이루지만 대중성에 있어서는 그를 능가한다. 아무래도 소재의 파격성에 연유한게 아닐까 섣부른 추정을 한다. 모옴의 작품은 예전에 <인간의 굴레>를 읽어본 이후 관심영역 밖에 놓여 있었다. 썩 내 취향은 아니라고 하겠다. 이 <달과 6펜스>도 <인생의 베일> 증정품으로 받지 않았더라면 손에 들었을 가능성을 장담 못했을 것이다.
모옴은 특히 영미권에 인기가 높다. 탁월한 문학성으로 정평있는 작가는 아니지만 대중성에 있어서는 남부럽지 않다고 한다. 아무래도 스스로가 언급했듯이 스토리텔러를 지향하기 때문이 아닌가싶다. 괜히 난해하고 현학적인 표현과 구조가 수준높은 문학으로 인정받는 시대에 그는 대중에 보다 다가서는 방법을 택한 댓가이다.
흔히 고갱을 모델로 했다는 이 작품은 한 증권중개인이 어느날 처자식을 버리고 예술의 길로 뛰어들고 자신의 길을 헤쳐나가는 모습을 '나'라는 관찰자의 눈으로 추적하고 있다. 확실히 찰스 스트릭랜드는 예술 외에는 세상에 관심이 없다. 그러니 영국의 부인과 처자식을 아무런 죄의식을 느끼지 않고 떠나왔으며, 파리에서 유부녀 블란치 스트로브의 죽음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철저한 예술지상주의 구현자라고 하겠다. 오히려 그가 중연의 나이까지 가슴속의 열망을 억누르고 살았다는게 믿어지지 않을 정도다.
스트로브 부인이 그를 꺼려했던 이유는 가슴에 뜨거운 열정을 품은 그녀에게 그는 본능적으로 두려우면서도 매혹적인 존재이다. 죽을줄 알면서도 뛰어드는 불나방의 운명을 예감한 것이다. 그녀에게 사랑은 전부를 의미하지만(그래서 더크 스트로브를 떠날 수 있었다) 찰스에게 사랑은 귀찮은 찰나의 감정에 지나지 않는다.
주인공인 찰스보다는 더크 스트로브에게 인간적 연민을 느낀다. 영화 '아마데우스'에서 천재를 질시하는 살리에리가 주인공보다 더 관심이 끌리듯이. 천재의 재능을 알아보는 능력은 있지만 스스로가 천재의 능력을 가질 수 없는 범인의 비애. 아내를 빼앗아간 찰스에 대한 분노를 능가하는 예술과 예술가에 대한 어찌할 수없는 사랑.
찰스 사후에 찰스의 그림은 세상의 인정을 받고 찬사를 자아낸다. 무시받던 그의 그림은 일순간에 거액의 가치를 갖는 명품이 된 것이다. 이제 그는 예술에 미친 괴짜에서 놀랍게도 현인으로 변모되었다.
혹자는 스위스가 인류문명에 기여한 것을 과소평가한다. 전쟁과 투쟁이 오히려 수많은 예술과 과학에 기여하였다고 높이 평가한다. 예술과 예술가는 별개로 취급하는게 원안이리라. 하지만 나와 남을 파멸로 이끌어간 예술가의 작품에 대하여 탄복하고 감탄하는게 일반화된다면 우리사회는 온전히 유지될 수 있을지 궁금하다.
서머셋 모옴은 유달리 인간성의 발현에 관심이 큰 듯하다. 그가 보기에 인간은 불완전하다. 이성의 완벽한 현현은 헛된 망상이다. 때로는 감정에 흔들리며 이성과 감성을 오가지만 그러면서 조금씩 발전을 이루는 양태가 작가가 생각하는 보편적 인간의 모습인 듯하다. <인간의 굴레>나 <인생의 베일>이 그러하며, 이 작품도 외양으로는 세속에 대한 예술의 찬양으로 비치지만 내게는 피할수 없는 예술의 손아귀에서 허적거리는 불행한 인간의 삶을 통해 인간사의 순탄하지 못한 측면을 부각하는 것으로 인식됨은 나의 지나침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