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
스티븐 런치만 경 지음, 이순호 옮김 / 갈라파고스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먼저 읽은 <비잔틴 제국의 역사>로 동로마제국의 역사에 대한 개략적 지식을 파악하였다. 그럼에도 다시 이 책을 펼쳐든 것은 무슨 연유인가. 장구한 제국의 마지막 순간을 미시적으로 이해하는 게 의미가 있을지 한편으로는 회의도 있다. 비잔티움은 십자군의 침공 이후 사실상 멸망한 것과 다름없다. 수십년 후 다시 콘스탄티노플을 수복하기는 하였지만 제국은 최후 순간까지도 라틴제국의 잔해와 이탈리아 도시국가가 지배하는 섬들, 그리고 내부 유력세력에 의해 조각나 있었다. 그런 비잔티움에게 있어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은 당연한 역사적 수순이라 하겠다.
서구에서는 비잔티움의 멸망을 중세와 근세를 가르는 상징으로 파악하였다고 한다. 15세기 유럽인에게 있어 로마제국은 옛적의 아스라한 추억일 뿐이다. 그런데 그런 로마제국의 한 축이 동방에서 꿋꿋하게 자리를 지키다가 고목이 쓰러지듯 넘어갔던 것이다. 이것으로 이 책의 의의는 충분하다고 본다. 어쩌면 노제국에 대한 만가로서의 역할도 필요하지 않겠는가.
자그마치 10배가 넘는 오스만군의 포위에 대항하여 수개월간이나 버틴걸 보면 비잔틴인들의 필사적 노력도 가상하지만 난공불락으로 명성이 자자한 콘스탄티노플의 성벽도 엄청났음을 새삼 알게 된다. 성벽 비상문이 열려있는 우연이 아니었다면 최후의 총공세도 아마 무위에 그쳤을 테고 그러면 비잔티움은 그 질긴 생명을 연장했겠지만.. 결국 역사는 비잔티움 대신에 오스만 투르크를 선택한 것이다.
수개월의 공방전 동안 유럽의 기독교 세계에서 원군이 있었다면 역사는 또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기에는 동과 서의 간극은 너무 크고 감정의 앙금은 깊게 가라앉았다. 유럽인에게 비잔티움은 라틴어가 아니라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그리스인의 국가일 뿐이다. 종교는 화합을 위한 부분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오죽하면 오스만은 트로이인의 후예이고 따라서 비잔티움 멸망은 고대 그리스가 트로이를 멸망시킨 업보라고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
비잔티움의 최후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천년 넘게 명맥을 이어온 국가이든 중국처럼 2백년 만에 왕조 교체가 이루어지는 국가이든 거대체제의 종말은 내부적 모순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내부가 일치단결하고 번영과 화합을 누릴 때 외침에 의해 멸망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미 주저앉을 준비가 되어있는 체제에 외부의 일격이 효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비잔티움은 달랑 수도밖에 남은 게 없는 상태였다. 콘스탄티노플이 자급자족이 가능하다면 몰라도 무한정 포위상태에서 버티어낼 수는 없을 것이다. 성 밖에서 전면전을 벌이지 않고 공성전을 택한 것은 물론 병력의 차이도 있겠지만 얼마동안 만 버티면 제풀에 철군하던가 그렇지 않더라도 서방에서 구원군이 올 것을 기대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오스만의 술탄은 끝장을 보려고 결심했고 거대한 대포라는 신무기를 개발하여 두꺼운 성벽을 무지막지하게 두들겼다. 그리고 유럽은 당시 자신들의 일을 처리하게도 바빴다. 그들에게 오스만은 아직 직접적 위협이 되지 못하였다.
이렇게 비잔티움은 명맥을 다하였다. 하지만 콘스탄티노플은 다시 살아났다. 동로마에서 오스만으로 지배세력은 교체되었지만 수도의 지위는 유지하였다. 정교에서 이슬람으로 정체성이 변경되었고 이름마저 이스탄불로 개명하였다. 그리고 다시금 번영을 누렸다. 여전히 동과 서를 잇는 요충지로서. 그것은 일종의 숙명이자 비잔티움과 오스만이 일대 제국으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원동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