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곳이 어디든 - 현대문학 창작선
이승우 지음 / 현대문학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생의 이면><식물들의 사생활>로 급속도로 나의 호감을 사로잡은 작가의 신작이다. 그간 도서관에서 대출해 보다가 이번에 모처럼 마음먹고 구입하였다. 그것이 최소한도의 인사치레가 아닐까 자위하며.

이승우의 스타일은 여전하다. 그의 스타일이라니? 그의 소설은 관념적 또는 사변적이다. 사건이나 행동 묘사보다는 심리분석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더욱 심리기술을 인간 존재의 근원까지 밀어붙인다. 설마 설마 하다보면 이미 한계상황에 다다른다. 그 점이 내가 좋아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승우의 글쓰기 특징은 사변적이라고 하였지만 또한 현학적이기도 하다. 그는 작중인물의 심리기술을 동어반복적인 언어유희로 표현하길 좋아한다. 여기에서는 좀 더 성향이 강화되었다. 이 작품에서 그런 부분을 빼면 분량이 한 사분의 일은 줄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그곳이 어디든>은 뭐랄까 너무 어깨에 힘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자신의 스타일을 힘껏 밀고 나간 점은 좋지만 다소 무리한 설정과 구성의 함정에 빠지고 말았다. 소설적 허구는 이른바 ‘그럴듯함’을 전제로 한다. 처음부터 만화적 허구도 존재하지만 내 생각에 작가는 그런 방향으로 내용을 전개하지는 않았다고 본다. 물론 그러함에도 읽는이의 손끝을 붙잡아매는 전매특허의 박진감은 여전하다.

이 소설은 출발부터 다분히 짙은 허구성을 내포하고 있다. 유는 지방 발령 아니면 사표에서 선택의 여지없이 서리로 내려온다. 서리는 서남쪽 바닷가 근처의 어느 곳이다. 그곳이 어디든, 그는 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유와 아내의 관계는 특이하다. 이미 예사로운 부부관계가 아니었지만 어쨌든 아내는 서리로 가는 유를 떠나서 몸이 망가진 옛 애인에게 가버린다.

그리고 서리에서 마주치는 적대적인 자연과 사람들. 이 과정에서 유는 늪에 빠져 허우적대듯이 아니면 개미지옥에 빠진 한 마리 개미마냥 버둥대며 서서히 서리에 가라앉는다. 여기서 서리는 어쩌면 그럴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폐쇄적인 악의 소굴이다. 일단 서리에 오면 죽든가 밑바닥에서 순응하며 연명하든가 대안이 없다.

그러기에 미친 노아는 동굴에서 세상의 종말을 대비하여 영원한 집, 곧 관을 만들고 있다. 서리라는 지옥같은 현실은 찰나에 불과하다. 영원한 내세에 평화와 행복을 누리리라. 그러나 그의 딸과 유는 여기에 순응할 수 없다. 그건 너무 자포적이며 수동적이다.

위태롭게나마 사실성을 유지해 나가던 소설은 마지막 장면에서 일대 압권을 보여준다. 서산봉의 화산 폭발. 여태까지의 작가가 보여준 치열성을 생각해보면 너무나 안이한 결말이다. 노아의 홍수처럼, 화산 폭발은 서리를 정화한다. 서리를 탈출하려는 유와 노아의 딸의 시도 자체를 봉쇄한다. 거기에 유의 아내와 남자마저도.

이제 작가 이승우는 한 고비에 다다른 듯하다. 보다 진일보하려면 자신의 스타일에 변화를 도모하던가 아니면 보다 내면적 심화를 꾀하든가. 그의 선택이 궁금하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09-02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08.1.13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