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 ㅣ 대산세계문학총서 7
조라 닐 허스턴 지음, 이시영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1년 6월
평점 :
대산세계문학총서 007.
대산세계문학총서에 수록되지 않았다면 읽기는커녕 존재 자체를 알지도 못했을 작품이다. 그런 면에서 대산문화재단에 고마움을 표하고 싶다.
이 작품의 문학사적 중요성이나 흑인문학에서의 위상에 관한 시시비비는 제쳐놓고 소설로서의 재미가 제법 녹록치 않다.
재니라는 혼혈 흑인여성이 여성으로 자라서 세 번의 결혼과 이혼 내지 사별의 과정을 통하여 흑인여성의 진정한 삶의 의미를 구도하고 있는데, 이는 단지 흑인여성에 국한할 필요는 없다. 1930년대를 배경으로 한 만큼 형식적인 노예해방은 이루어졌지만 실질적으로는 여전히 흑백차별이 엄존하던 미국 중남부. 당시 흑인여성은 제3의 성이다. 백인과 흑인남성 아래에 존재하는.
재니는 결혼이란 "저 깊은 뿌리에서 여린 가지까지 행복에 겨운 온몸의 떨림이 모든 꽃송이로 흘러들며 환희에 전율하는 것"(P.21)임을 계시받는다. 할머니의 애정어린 독촉에 못이겨 마지못해 한 첫번째 결혼에서 재니는 무애정한 결혼생활의 무의미성을 절감한다.
그러다가 조 스탁스를 만나고 과감히 그를 따라나선다. 비록 계시의 내용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그럼에도 그가 말하는 "변화와 기회"(P.43)가 자신에게 새로운 삶의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임을 기대하며. 그와의 결혼생활을 이십년 가까이 지속되었다. 외견상 그녀의 선택은 성공적이다. 숙녀 대접을 받는 시장 부인으로 존칭되며 대체로 평온한 생활을 꾸려나갈 수 있었기에. 그런데 그녀는 조 스탁스의 아내가 무엇을 의미함을 점차 알게 된다. 여전히 독자적인 인격체로서의 존중이 아닌 아름답지만 열등한 존재로서의 인식.
재니가 티 케이크에게 관심이 쏠린 것은 바로 그의 일상에 충실하며 무기력하지 않으며 열성적인 삶의 자세다. 고정된 직업 없이 그때그때 생기는 일자리에 의존하는 불안정한 경제적 조건에도 재니와 티 케이크는 즐거운 나날을 보낼 수 있었는데 재니에게는 일생 처음 겪는 주체로서의 삶의 생생함이었다.
만약 재니의 품성이 내면의 정열과 활력을 뿜어내지 않았다면 다른 많은 여성들처럼 조 스탁스가 만들어준 인형의 집에서 안온한 생을 영위할 수도 있었을 테지만, 그녀는 그러기에는 너무나 인간적인 인간이다. 그래서 또다시 사별로 막을 내리는 또다른 선택을 과감히 하였고, 비록 슬픔에 가득찬 채로 귀가하였지만 그녀의 내일은 분명히 과거로의 회귀는 아닐 것임을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소설의 전반부는 그다지 흥미를 자아내지 못하고 평이한 전개로 일관한다. 순간적으로 과대평가된 작품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문득 일어나곤 한다. 그러다가 조 스탁스와의 결혼생활 파경과 티 케이크를 만나면서 아연 활기를 띠기 시작하더니 플로리다 습지대에서의 노동자의 삶과 허리케인 장면에서는 흥미진진함이 배가되어 책장을 손에서 놓을 수 없다. 이런 작품이 1970년대 이후에 와서야 비로소 평가를 받게 되었다니 의아할 뿐이다. 그것도 흑인들에서마저 무관심의 코너에 방치되었다는 점이 말이다.
문학이 사회선도를 결과할 수 있지만, 사회선도를 목적으로 하는 문학은 영속하지 못한다. 흑인여성 작가로서 허스턴은 당대의 대세인 계급적, 투쟁적 시각을 비껴가며 인간 자체에 더욱 천착하였다. 이것이 그녀의 작품이 당대에서 망각되었지만 현대에 와서 부활한 성공한 역설적인 요인이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