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 - 20세기 클래식史를 이끈 위대한 지휘자 34인
안동림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6월
평점 :
품절
클래식 음악계에서 거장 지휘자들의 시대는 이미 종언을 맞이하였다. 그 시점을 19세기에 태어난 전설적인 명지휘자들의 마지막 활동시기인 1960~70년대로 추산하든 아니면 20세기 초에 태어난 거장들의 세상을 떠난 1990년대를 산정하든 결론은 마찬가지다. 그들은 모두 20세기의 인물이지 21세기를 이끄는 존재는 될 수 없는 것이다.
저자 안동림이 누구인가. <이 한 장의 명반 클래식>과 <이 한 장의 명반 오페라>로 국내 음반 가이드 방면에서는 최고 권위자이자 대중에게도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오죽하면 그의 저작과 추천을 딴 음반 시리즈가 발매되고 있겠는가. 그의 전작 책들을 보면 SP와 LP 시절의 음반에 대한 깊은 내공이 자연스레 배어있음을 알게 된다. 누가 뭐래도 연륜의 힘은 무시할 수 없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의 부제가 ‘20세기 클래식史를 이끈 위대한 지휘자 34인’로 정해진 점은 당연하다.
그의 책을 통해 우리는 거장들이 포디엄을 지배하던 옛 시절의 정취를 편린이나마 엿볼 수 있다. 지금은 불가능한 과거에 대한 일말의 향수도 곁들여져 있다. 토스카니니, 푸르트벵글러, 발터, 라이너, 셀, 뵘 등 음악애호가라면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서늘해지는 명지휘자들의 명단이 줄줄 이어진다. 그 시절 음악회에 가는 것은 종교의식에 참여하는 것과 동의어가 아니었을까. 비단 푸르트벵글러의 주술뿐만이 아니다. 청중은 객석에 앉아 단상의 지휘자가 뿜어내는 강력한 카리스마에 매혹되어 모차르트, 베토벤, 브람스, 브루크너, 바그너 등 음악의 신들을 숭배하였다.
연전에 큰 인기를 끌었던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의 강마에가 보여주는 카리스마와 독설은 활화산 같은 토스카니니의 리허설 장면을 듣게 되면 결코 과장이 아님을 알게 된다. 이제 더 이상 이러한 지휘자는 존재하지 않으면 그러할 수도 없다. 지금은 21세기이며, 문화예술에서 클래식 음악은 변두리의 극소수 매니아들이 선호하는 장르일 따름이다. 그것은 발생지인 유럽도 큰 차이가 없다. 현대의 지휘자는 단원들과 동등한 선상에서 협력자 내지 동반자의 태도로 악단을 이끌고 있다. 청중도 더 이상 음악회장에서 종교와 철학, 도덕을 공부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변화된 환경에서 거장 지휘자들의 추억을 더듬고 그들의 위대한 유산을 반추하는 것은 안동림의 작업이다. 그가 다루는 34인의 지휘자는 모두 세상을 떠났으며, 가장 소장이라고 해봤자 카를로스 클라이버와 쥬세페 시노폴리이다. 음악회의 생생한 현장에서 경험을 공유할 수 없게 된 그들의 음악세계는 매체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세월의 경과에 따라 애호가들에게도 잊혀지고 있다. 저자는 현대의 지휘자들은 대소를 불문하고 과거의 거장들의 영향을 받지 않은 이가 없음을 상기시키고 음악의 표면에 함몰되지 않고 깊은 내면을 응시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한편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새로운 음악관을 실현하는 젊은 지휘자들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그들은 전통의 권위와 무게를 떨쳐 버리고 음악을 음악 그 자체로 받아들인다. 음악을 순수하고 즐거워야 하지 사변과 관념의 시종이 되어서는 안 된다. 어떤 이에게는 자칫 유희와 가벼움으로 치부되어 비판받는 경우도 있다. 우리는 베를린 필의 전임 아바도와 현임 래틀, 마젤과 바렌보임, 메타와 레바인 등에게 토스카니니와 푸르트벵글러, 클렘페러의 재래를 기대하지 않는다. 래틀은 의도적으로 음악에서 심각성을 배제한다. 바렌보임은 음악을 통해 문명 간 화합을 추구하며, 메타와 마젤 등은 음악을 통한 대중과의 소통을 겨냥한다. 포디엄의 고독한 절대자의 이미지는 더 이상 없다.
안동림과 볼프강 슈라이버의 비슷하지만 상이한 저작의 차이는 여기에서 비롯된다. 20세기와 21세기 지휘자의 성격을 규정함이다. 안동림은 시대를 거슬러 올라간다. 그의 글을 통해서 우리는 시간이 흘러도 잊어서는 안 될 소중한 자산을 재발견하게 된다. 그리고 슈라이버는 음악이란 과거에 함몰되어서는 안 되며 현재와 미래에 충실한 음악관의 가치를 깨닫게 한다. 양자 중에서 우리의 선택은 무엇일까? 아니 선택 자체가 가능하며 필요한지 자문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