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기잡이 여행
정기태 지음, 위직량 사진 / 바보새 / 2004년 7월
평점 :
절판
고향이 경기도 용인인 내게 강과 바다 같은 물가는 친숙하지 않다. 기껏해야 무릎이나 허리 정도까지 깊이의 개울에서 멱을 하거나 다슬기를 주웠던 기억뿐이다. 음식도 산과 들에서 나는 먹을거리가 주를 이루었으며 어류는 고등어, 갈치, 임연수 정도. 어머니도 김치 담그실 때 새우젓 외에는 다른 젓갈류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셨다. 회를 입에 대기 시작한 것은 사회생활을 하면서부터인데 여전히 광어와 우럭도 구분하지 못할 정도이니 그 진미를 알겠는가. 젓갈은 기껏해야 오징어젓을 간혹 젓가락으로 깔짝거릴 뿐. 명란젓을 좋아하는 아내는 이 점을 매우 불만스럽게 생각한다.
그런 내게 이 책에서 글쓴이가 느끼는 절절한 감수성을 기대하기란 난망이다. 그는 머리말에서 “사라져 가는 전통 고기잡이의 원형을 기록으로 남기”고, “갯가 풍속과 다양한 어법을 알려주자는 의도”로 이 여행 시리즈를 기획하였다고 밝히고 있다.
각종 수산용어와 어부들의 은어가 난무하니 나 같은 문외한은 글쓴이가 알려주는 고기잡이 방법에 대해서는 들어도 들리지 않을 지경이다. 그저 거문도에는 갈치가 특산물이며, 담양호에도 빙어가 나는구나 등과 같이 지역마다 차이를 보이는 어류와 어법의 다종다양함에 감탄하며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킬 따름이다.
이 책의 전반을 아우르는 분위기는 우울함이다. 고기잡이 중노동에 시달리는 어부들의 괴로움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다. 배를 탄다는 것이 멀찌감치 떨어져 있는 이들이 바라보는 것처럼 그리 낭만적이지 않다는 정도는 알고 있다. 초가삼간 지어놓고 전원생활을 꿈꾸는 이들이 농촌과 산촌의 고달픔을 미처 헤아리지 못하듯이. 남획으로 사라져 가는 수산자원, 그나마 간척과 개발로 고기들의 터전마저 줄고 있는 가운데 각종 수입산의 대거 등장으로 고생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만년 적자와 가난에 허덕이는 어민들의 처지는 환경과 장소를 달리하지만 도시와 육지에 사는 모든 서민들의 애환과 다름없다.
저자명에 글쓴이와 함께 사진작가의 이름도 같이 기재됨은 당연하다. 사진 한 장이 무수한 글자를 무용지물로 만드는 경우를 어디 한두 번 겪었는가. 오늘날 사진은 진실은커녕 사실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도구로 전락하였지만 적어도 이 책에서 사진은 인간과 끈끈하게 밀착된 말없는 웅변의 참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사진 속의 어선과 어민들은 최첨단도 아니고 최신 유행의 말쑥한 멋쟁이들도 아니다. 하지만 그네들에는 분홍빛 구름 위가 아닌 황토빛 대지에 단단히 두 발을 딛고 서있는 사람의 내음이 배어있다.
마지막 안면도 대하 편을 읽으면서 불현듯 어리굴젓을 맛보고 싶다는 생각이 떠오른다. 비록 당장 입맛에 짝짝 붙지는 않겠지만 이런 방법으로라도 글쓴이의 심정에 동감하고 미약하나마 보람을 느끼게 하고 싶다면...웃지 말지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