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미래 - 총.달러 그 이후... 제국은 무엇으로 세계를 지배하는가?
에이미 추아 지음, 이순희 옮김 / 비아북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중압감을 주는 표제와 두툼한 분량에 괜히 기가 죽어서 사는 것도 읽는 것도 한참이나 뜸들이다가 이제사 읽다. 읽고 난 소감은? 읽을 만하다. 더 정확히는 흥미롭다. 폴 케네디의 <강대국의 흥망>이라는 책과 유사한 점이 제법 있다.
미국인들의 사회과학 저작물의 특징은 풍부한 사례에 있다. 일세를 풍미했던 앨런 토플러와 최근의 각광받는 토머스 프리드먼과 다르지 않다. 이론적인 부분은 서두에 또는 말미에 간략하게 정리하고 본문은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각종 예화로 빽빽이 채운다.
에이미 추아의 이 책의 핵심적 논지는 이미 서문에 모두 드러나 있다. 관용을 발휘한 국가는 초강대국(제국)이 되었고 관용을 상실한 순간부터 제국의 미래에 암운이 드리워진다. 저자가 표제에서 밝히는 현대의 제국은 바로 미합중국이다. 냉전 체제가 종말을 고하고 유일의 초강대국이 된 미국에 대한 반감과 증오가 확산되는 현실에 비추어 미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언하고자 하는 게 저자의 저작 목적이다.
 
예로 든 역사적 사례는 흥미진진하고 다채롭다. 순간 저자가 법학자가 아니라 사학자로 착각할 정도로 역사적 통찰과 서술에 빛을 발하고 있다. 고대의 아케메네스조 페르시아, 로마 제국, 중국 당나라, 몽골 제국, 근세의 네덜란드, 대영제국에 주된 관심을 기울이고 스페인, 오스만 투르크, 중국 명나라, 무굴 제국, 그리고 현대의 독일과 일본을 성공하지 못한 반대 예화로 언급한다. 한편 당대의 미국의 부상을 살펴보고, 잠재적 도전자라 할 중국, 유럽연합, 인도 등이 과연 경쟁자가 될 수 있는지 훑어보며 다시 미국의 미래로 책을 마친다.
 
저자는 역사상 초강대국(미국을 포함하여)의 필수 요소는 ‘관용’이라고 단언한다. 관용은 인종, 종교, 문화 등에 있어 개방적 태도를 의미한다. 자국의 영토 내에 이질적인 요소를 끌어안을 수 있고 물리적, 화학적 통합을 이루어 낼 때 변방의 소국은 대국으로, 지역의 강국으로 그리고 초강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저 타국보다 조금만 더 관용을 베풀면 된다. 그러면 관용은 인재와 재화를 끌어들이는 자석으로 변한다. 한편 저자는 초강대국의 쇠락을 이끈 도화선도 관용임을 지적한다.
불관용이 쇠망의 원인인지 아니면 쇠망으로 불관용이 촉발되는지 단정 지을 수 없지만, 어떤 임계점(저자는 극적인 변화 지점으로 표현한다)이 존재함은 사실이다. 관용의 허용 수준은 임계점 이전은 성장을, 임계점 이후는 쇠퇴를 가져온다고 단정하면 지나칠까. 하지만 이 임계점은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이다. 사회 발달 단계와 내부 결속력(저자의 표현에 따르면 접착제)의 존재에 따라 임계점은 조기에 다가올 수도 아니면 상당한 기간 지연될 수 있다. 로마 제국이 후자의 경우이다. 아케메네스조와 몽골 제국은 전자에 해당하겠다.
 
오늘날 미국이라는 거대국가의 위상과 관련하여 많은 논란이 있다. 친미와 반미는 지나치게 유아적 반응이다. 아마존의 밀림에 사는 원주민들도 청바지를 입고 코카콜라와 맥도널드에 침을 흘린다. 우리는 어떤가? 미국사회와 우리사회 간 연대감은 우리사회의 당대와 50년 전 과거를 능가한다. 국경을 초월한 동질감에 비하면 시간차의 이질감은 상상을 뛰어넘는다. 그럼에도 여전히 반미의 목소리는 사라지지 않는다.
저자는 제국의 미래는 미국이 초강대국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중단하는 것뿐(서문 말미에서)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면 미국은 제국을 상실하지만 초강대국으로 남을 수 있다. 관용의 미덕을 발휘하는 미국은 자신을 하나의 본보기로 제시해야지 관용의 제도를 전파하려고 노력하는 순간 이미 미국은 제국주의 국가로 낙인찍힌다는 것이다(P.461).
 
저자 자신과 그 가족은 중국계로서 이미 미국의 관용 정책에 혜택을 입은 사람들이다. 그들에게 가난하고 암울했던 조국에 대비하여 기회와 번영의 땅, 미국은 어떤 이미지로 다가왔을지 궁금하다. 이민자로서 성공하여 그 국가의 발전과 유지를 위해 이런 저서를 발표한다는 자체가 이민자 국가로서 미국의 관용의 효력을 강하게 웅변한다.
 
이 시점에서 우리 사회의 ‘관용’을 떠올린다. 우리에게 관용은 가진 자의 선심 내지 패배자의 자위에 불과하다. 적자생존의 치열한 현장이 바로 이곳이니까. 법보다 주먹이 가깝고, 목소리 큰 사람이 이기고, 경청과 겸손보다 억지주장과 허위가 난무하는 곳, 그곳이 우리 사회다. 우리는 타 인종, 종교, 문화에 관용을 베푸는가? 이런 질문을 하기조차 부끄럽다. 무의식적인 백인숭배 및 유색인 멸시풍조. 국제결혼과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비인간적 대우. 독선의 종교 등.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 보자. “대한민국은 이민자의 나라가 될 수 있는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08-31 16: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10.3.17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