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멘 호수.백마의 기사 ㅣ 고려대학교 청소년문학 시리즈 10
테오도어 슈토롬 지음, 이은희 옮김 / 고려대학교출판부 / 2008년 7월
평점 :
고려대학교청소년문학시리즈 010
테오도어 슈토름은 19세기 중반 소위 시적 사실주의의 대표적 작가이다. 여러 노벨레 작품으로 명망을 누렸으며 특히 대작 <백마의 기사>가 걸작으로 일컬어진다. 국내에서는 <임멘 호수> <백마의 기사> <대학시절> <삼색 제비꽃> <꼭두각시 폴레>가 번역되어 있다.
<임멘 호수>는 그나마 여러 번역이 나온 편인데, ‘첫사랑’ 또는 ‘호반(湖畔)’이라는 타이틀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원제목은 아니지만 그다지 나쁘지는 않다. 사실 ‘임멘 호수’라는 표제보다는 독자의 감성에 대한 호소력이 더욱 뛰어나다고 하겠다. 영화 <워털루 브리지>를 <애수>로 바꾼 것처럼.
라인하르트와 엘리자베트의 첫사랑을 다룬 작품이다. 그들의 사랑은 어릴 적부터 너무도 자연스럽게 형성된 것으로 쌍방의 적극적 열정이 동반되지 않고 있다. 특히 엘리자베트는 사랑보다도 관습에 순응하는 소극적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라인하르트가 이년을 기다려달라고 했음에도 끝내 이를 지키지 못하고 에리히와 결혼한다. 후에 노랫말이 가리키듯 ‘어머니의 뜻’으로 말이다.
이 작품의 가장 극적인 장면은 라인하르트가 고향을 방문하여 에리히의 집에서 엘리자베트와 조우하는 부분이다. 그들의 만남은 손을 맞잡고 외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내면에 간직한 체념한 사랑으로 수렴되고 이에 라인하르트는 길을 떠난다. 여기서 엘리자베트의 모습은 ‘흰 옷을 입은 소녀 같은 여인’(P.50)으로서 호수에 피어있는 ‘하얀 수련’으로 상징화된다. 돌을 던지면 닿을 수 있는 거리에 있건만 아무리 헤엄쳐도 결코 다가갈 수 없는 존재.
전체적으로 잔잔하면서 간결성과 투명성이 돋보인다. 일체의 정념이 체념의 경지에 스며들어 있는 독특한 문체이다. 첫사랑의 기쁨을 그리기 보다는 첫사랑의 가슴 아픔을 독자에게 보여주려고 한다. 하긴 첫사랑은 이루어지지 않기에 더욱 애절한 법이니.
<백마의 기사>는 그런 면에서 전혀 다른 방향의 작품이다. 여기서는 인간과 자연, 그리고 인간과 인간(또는 사회)의 대치 구도가 팽팽하게 당겨지고 있다. 하우케 하이엔의 성격과 행동은 밝음과 어둠의 혼재로 드러난다. 그의 결단과 의지는 결과적으로 선을 향하지만 내면적 충동은 부정적 사상으로 강화된다. 따라서 그는 마을사람들과 화합하지 못한다.
“그 순간 이들에 대한 분노가 그를 사로잡았다...젊은이의 가슴에 명예심과 사랑 이외에도 공명심과 증오가 자라기 시작했다”(P.159)
이렇게 보면 하우케의 새 제방 축조도 순수한 동기에서 비롯되지는 않았다. 제방감독관으로서 자신을 과시하고 싶은 욕망이 없었다면 거짓이리라. 절차에서도 그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이해당사자인 마을 사람들의 이해와 설득을 구하는 대신 관청의 힘을 빌려 시행을 강제하고 있다. 따라서 후에 홍수로 제방이 곤경에 봉착하였을 때 그는 고립무원의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는 매우 시사점이 크다. 결과적 정당성이 과정의 정당성을 상쇄하는 것은 이미 구시대적 관념이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최선의 정책이 절차 정당성을 얻지 못하여 묻혀버리고 차선의 정책을 선택되는 경우가 다반사고 오히려 이것이 보다 정당하다. 하우케는 이 점을 등한시하는 우를 범하였던 것이다.
하우케가 중인(衆人)들과 다른 점은 종교적 관습을 지키지 않는데도 있다. 그에게 하나님은 전지전능한 존재가 아니며, 이성적 판단에 적합하지 않은 미신적 관습을 용납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그에게 자연은 엄혹하지만 충분히 대처 가능한 존재이다. 철저한 사전 준비와 꼼꼼한 감독으로 자연의 변덕을 다스릴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런 관점에서 그는 근대인이자 계몽인이기도 하다. 반면 마을 사람들은 전근대인이며 봉건인이다. 작품 말미에서 하우케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선생이 “유능한 인사를 단지 우리보다 뛰어나다는 이유로 유령이나 귀신 들린 자로 만드는 일은 어느 시절이나 있기 마련이지요”(P.294-295)라는 평가가 이를 명확히 하는 작가의 하우케 변론이다.
이 두 작품은 다른 제재를 택하고 있지만, 한구석에 뿌리치지 못할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탈봉건과 근대성의 기치를 내걸고 있음이다. 전자는 사랑을 얽어매는 낡은 관습, 후자는 봉건적 인습을 뿌리치는 근대인의 강인성과 자연 개발 의지. 이 점에서 슈토름의 노벨레는 단순한 시적 사실주의의 틀을 벗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