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후의 클래식
허제 지음 / 책과음악 / 2009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안동림 교수가 쓴 <이 한 장의 명반 클래식>과 <이 한 장의 명반 오페라>를 가지고 있다. 각권이 정가 5만원에 분량도 전자의 경우 1500여 면을 훌쩍 넘는다. 서가에 꽂아놓고만 있어도 흐뭇하며 가끔씩 들춰보는 재미도 제법 쏠쏠하다.
물론 이런 유형의 저작을 좋아하지 않는 이들도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너무 옛 시대의 거장들의 연주를 선호하고, 개인적 감상이 깊숙이 반영되어 있어 음반가이드로서는 지나치게 주관적이라는 이유다.
그런데 이러한 책을 음반가이드가 아니라 글자 그대로 ‘이 한 장의 명반’에 대한 수상록이라고 생각하면 마음이 가벼워지지 않을까싶다. 물론 비싼 돈 주고 수상록을 사보는 데 반대한다면 다른 차원의 문제이기는 하다.
여하튼 허제의 이 책을 보며 안동림 교수의 저작을 떠올리는 건 대체로 스타일이 비슷한데 연유한다. 허제는 일찍이 <명반의 산책>과 개정판인 <명반의 산책 1001>로 정통적인 음반가이드북을 출간한 적이 있다. 그야말로 가이드북에 충실하게 대중적 명곡과 대표음반 세 장씩을 소개하여 나 같은 입문자에게는 지금도 꽤나 도움이 되고 있다. 영문판인 <펭귄 가이드>나 <그라마폰 가이드>는 조금 어렵다.
<불후의 클래식>은 음반가이드북이 아니다. 오페라를 제외한 주요 작곡가의 대표 작품 당 단 하나의 음반을 소개하고 있는데, 기실 900여 면을 빽빽하게 채운 것은 음반 자체보다는 음반에 수록된 작곡가와 작품, 그리고 연주가와 연주에 얽힌 이야기다. 음반 선정 자체는 대체로 주관성과 객관성이 혼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명반이라는 것이 원래 그러한 법이 아니겠는가?
저자가 추천하는 음반으로 그 음악을 들으며 책장을 넘기면 그동안 간과하기 쉬웠던 악구의 미묘한 의미를 되새기는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으니 가이드북처럼 한번 쑥 스쳐지나가며 페이지를 넘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다. 그래서 나도 날마다 몇 장씩 읽다 보니 거의 두 달이나 소요되었다. 음악 감상과 병행하지 못한 게 아쉽지만.
이 책을 클래식 입문자에게 추천하기는 약간은 곤란하다. 소위 보편타당한 추천음반으로 어느 정도 귀가 익숙해져서 나름의 판단 기준을 가지고 있어야 저자의 주관성에 함몰되지 않는다. 저자의 절대 명반은 내게도 절대적이지는 않다.
예컨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의 경우 저자는 헨릭 셰링을 추천하지만, 나의 가슴 속에는 요제프 시게티가 흔들리지 않는 뿌리를 내리고 있다.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제3번의 아름다움을 처음 깨달은 연주는 여기서 추천하는 블라디미르 호로비츠의 미국 데뷔 50주년 음반이나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의 두 종류의 음반이 아니라 아쉬케나지가 유진 오먼디와 협연한 것이다.
또한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의 경우에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 쿠르트 잔데를링의 멜로디야 음반을 듣고 나서 비로소 라흐마니노프 음악의 감상성과 상투성에 대한 선입견을 깨뜨릴 수 있었다.
즉 허제의 이 책은 한 음악애호가의 주관적 감상기로 참고도서로 유용하게 활용하되, 전적으로 의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생각이다.
게다가 이 책은 결정적 약점을 지니고 있다. 정가 49,000원의 일반 독자에게는 다소 부담이 될 만한 책이라면 내용뿐만 아니라 편집에도 보다 철저를 기해야 했음에도 다소 미흡하다. 눈썰미가 좋은 독자라면 곳곳에 수많은 오타를 발견할 수 있다. 연주와 녹음이 조화를 이루어야 명반이 되는 것처럼(연주는 좋은데 녹음이 나쁘면 historic 이라는 단어가 추가된다) 내용과 편집이 잘 어우러져야 좋은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아마 상업성이 취약한 1인 출판의 한계가 노정된 게 아닌가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 책은 충분히 일독할 가치가 있는데, 클래식 음악 감상에 대한 저자의 다년간의 몰입과 열정이 수록된 내용의 가치를 더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