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렐리아 - 지만지고전천줄 77
제라르 드 네르발 지음, 이준섭 옮김 / 지만지고전천줄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삼독(三讀)이다. 읽을수록 색다른 묘한 작품이다.
처음엔 우려와는 달리 이해에 별다른 어려움이 없는 무난한 작품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섣부른 생각임이 재독(再讀)을 하면서 깨닫게 되었으며, 삼독에 이르러서는 더욱 종잡을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이것이 꿈과 몽상을 이야기한 것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데 몽환의 안개 속에서 작가가 말하고 싶은 속깊은 내용이 무엇인지 점점 어려워진다.
여기서 작가는 죽음의 임박을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 죽음을 앞두고 영혼의 자서전을 쓰는 심경으로 네르발은 한줄 한줄 써내려간다. 꿈의 세계가 그러하듯 때로는 전후가 단절되는 곳도 빈번하지만 전체를 관통하는 맥락은 여일하다. 그것은 “광기의 가면을 쓰고 있는 숙명적 진실”(P.67)인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이렇게 토로했나 보다.
“어쨌든 인간의 상상력이 이 세상에서, 또는 저 세상에서 생각해 낸 그 어떤 것도 진실이 아닌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내가 분명히 ‘보았던’ 것을 의심할 수가 없다.” (P.65)
“내가 이해하기로는 외부 세계와 내부 세계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존재하며, 다만 부주의나 정신적 무질서가 그에 대한 분명한 관계들을 왜곡시키고 있을 뿐이며,...” (P.135)
네르발의 작품을 일람하면, 그는 진정한 방랑자임을 알게 된다. 현실에서건 아니면 몽상에서건. 그의 육신과 영혼은 정처없이 떠돌아다닌다. 삶이 죽음과 만나는 곳까지.
저승을 목전에 둔 이는 진지한 종교적 반추와 각오를 새기는 경우가 있다. <오렐리아>의 제2부는 사랑과 신앙의 고백과 실현이다. 네르발은 비기독교적 정신의 소유자이며, 여기에서 그리스 로마 문명과 동방 오리엔트의 신비주의 그리고 북유럽의 창세 신화까지 이음매없이 종횡한다. 따라서 문화적 배경이 받쳐주지 않는 경우에 그의 작품을 기저까지 쉽사리 이해하기란 만만한 게 아니다. 제2부에서 네르발은 내키지 않는 발걸음이지만 조금씩 정통 기독교와의 조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모성회귀(母性回歸)?
모성(母性)이야말로 네르발의 원점이다. 누차 언급하지만 상실한 모성의 갈망은 그의 작품의 추동력이다. 네르발의 영원한 여인상은 모두 모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는 이시스 여신에게서 이를 찾고 있다.
“나는 마리아와 같고 그대의 어머니와 같으며, 그대가 온갖 모습으로 언제나 사랑한 존재와 역시 같으니라.” (P.107)
이시스 여신은 그에게 시련의 진정한 의의를 밝혀주며, 말미에 와서는 시련은 이제 끝났음을 선언한다(P.125).
그의 심경은 기쁨으로 충만하고 감미로운 기분(P.125)이 되었다. 이제 그는 죽겠다는 결심을 실행에 옮길 수 있게 되었다. 더없이 평온함을 느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