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비 / 오렐리아 (구) 문지 스펙트럼 7
제라르 드 네르발 지음, 최애리 옮김 / 문학과지성사 / 199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동일한 문학작품을 역자를 달리하여 감상하는 즐거움은 제법 있다. 우선 해당 문학작품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진지한 이해가 가능해진다. 아울러 역자에 따라 미묘하게 달라지는 작품에 대한 인식이 비슷하나 똑같지는 않은 감흥을 제공하며, 때에 따라서는 새로운 작품을 접하는 듯 한 생경함을 주기도 한다. 물론 이 모든 것은 반복에 대한 지겨움을 감내한다는 전제가 따른다.

네르발의 글을 읽으면 아직 달빛이 그 힘을 잃지 않은 늦은 밤중 내지 새벽 어스름이 연상된다. 그것은 네르발이 추구하는 꿈과 몽상의 서술이 주는 선입견만을 아닐 것이다. <실비>는 달빛이 교교한 밤이다. 대낮처럼 눈부시고 화사하지 않지만 달빛이 주는 애틋함과 마음을 정화하는 정서가 남다르다. <오렐리아>는 안개가 자욱한 새벽이다. 사위는 온통 흐릿한데 갈길 모르는 나그네는 사물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든다.

두 작품 모두 작가가 정신착란을 일으켜 요양소에서 고생을 하던 시절에 씌어졌다. <실비>가 보다 내·외적 일관성을 갖추고 간결과 투명함을 잃지 않았던 것은 아직 그의 정신이 몽상의 세계에 빠지지 않았던 듯하다. 그래서 독자는 그의 글에서 아무런 징후도 발견하지 못한다.

이 책의 장점 중 하나는 <실비>의 배경이 되었던 파리 북부 근교 즉, 발루와 지방의 지도가 첨부되어 있어 작품 배경과 주인공의 여로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고향과 유년시절로의 회귀라는 특성상, 지리적 배경이 없으면 머릿속이 오락가락해진다. 

<오렐리아>의 비논리성과 정신적 자유분방함은 물론 몽상의 산물이다. 꿈이 낮에도 계속되는 것, 그러한 환상이 오렐리아의 전체적 분위기를 지배하고 있다. 다만 <칼리프 하킴 이야기>를 읽은 이후 좀 더 추가된 이해가 있다면, 그의 몽상은 단순히 정신착란 이후의 산물이 아니라 그가 더 일찍 해시시를 복용하면서 얻은 체험이 밑바탕에 깔려 있다는 점이다. 이 작품에서 환각의 묘사 장면은 정신약물 복용 후의 환각과 놀랄 정도로 흡사하다. 그의 해시시 복용이 어느 수준인지 알 수 없지만 그의 만년 정신이상과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섣부른 추론이다.

네르발에게서 빼놓을 수 없는 영원한 여인상은 복합적이다. 상실한 모성에 대한 동경, 이시스 여신으로 표상되는 오리엔트적 지향, 그리고 제니 꼴롱에 대한 이루어지지 못한(아마도 네르발 자신의 귀책사유로 인한 듯) 사랑과 그리움 등. 여기에 발루와 지방의 유년시절의 인상이 깊이 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네르발의 작품은 읽을 때마다 느낌이 미묘하게 다르다. 적절한 분량과 정서적 다양성이 주는 현실적, 예술적 기쁨이 계속하여 반복 독서를 유도하는 동기부여가 되고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근대나무 2011-08-24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2011.11.1 마이페이퍼에 쓴 글을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