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만시아.사기꾼 페드로 책세상문고 세계문학 13
미겔 데 세르반테스 지음, 김선욱 옮김 / 책세상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르반테스는 동시대의 셰익스피어와 함께 세계 문학계를 대표하는 거장이다. 그의 <돈키호테>는 서양문학사상 최고의 걸작으로 일컬어진다. 그것이 우리가 아는 세르반테스의 거의 전부다. 혹 좀 더 관심 있는 독자라면 <모범소설> 정도 이름을 들어봤을 뿐으로, 세르반테스와 돈키호테는 거의 동일어로 취급받는다.

이런 사실을 세르반테스가 알면 몹시 슬퍼할 것이다. 당대 스페인 문학의 황금시기에 많은 작가처럼 세르반테스도 극작에 상당한 심혈을 기울였다. 비록 다수가 소실되고 현전하는 것은 몇 편 되지 않지만, 그에게서 극작을 빼놓는다면 그의 문학세계의 한 축을 빼놓는 셈이다.

세르반테스의 사고와 문학은 세금징수관으로 일하던 중 겪게 되는 억울한 옥살이로 급격히 변모한다. 전기가 체제 긍정적, 애국적 경향이라면, 후기는 당대의 부패와 타락을 사회비판과 풍자 등으로 폭로하고 있다.

<누만시아>는 애국주의의 극적인 발로의 대표작이다. 누만시아는 오늘날 스페인 중북부 소리아 주에 해당하며, 스페인의 원류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승승장구하던 로마 공화국에 의하여 누만시아가 점령당하는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세르반테스는 누만시아인의 저항과 용기를 예찬하고 그들의 비극이 후세 스페인 제국의 영광의 밑거름이 되었음을 드높여 외친다. 세르반테스는 절정을 구가하던 펠리페 2세 치하의 스페인에 대한 무한한 자긍심을 문학으로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누만시아인의 강력한 저항으로 장기간 공격에도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자, 총사령관 스키피오는 성을 완전히 포위하고 물자 출입을 단절시킴으로써 고사시키는 작전을 사용한다. 굶주림으로 허덕이는 성 안, 사람들은 끝까지 항복을 거부하고 가진 것을 모두 불태우고 스스로를 절멸시켜 로마인들에게 텅 빈 성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전쟁의 목적을 헛되이 하며, 누만시아인의 불굴의 기개를 떨쳐보인다.

극한의 상황에서 기아에 쓰러져가는 성안 사람들. 연인 리라를 위하여 죽음을 무릅쓰고 성 밖에 나가 식량을 구한 후 죽어가는 모란드로. 모든 것을 버리자는 테오헤네스의 의견과 이의 실행, 그리고 처절한 죽음과 죽임의 잇달음. 과연 이것이 연극의 제재와 전개 상 적합한 지에 대한 일말의 의문마저 들 정도다.

하지만 이들의 운명은 이미 정해진 것. 마법사 마르키노는 어찌할 수 없음에 사전에 목숨을 끊지만, 인격화된 스페인과 두에로 강은 오늘의 고통과 비극이 내일의 영광을 예언하고, 역시 인격화된 명성이 이를 반복하여 증언한다.

“이 비할 데 없는 업적으로 인해 이 조상들의 강인한 피를 이어받은 후예들은 미래에 강한 스페인을 만들 것이다...결코 정복되지 않았던 기상과 용기는 계속 전해져야 한다.” (P.120)

그런데 전원 분사를 선택한 누만시아인의 선택은 과연 올바른 것인가? 스키피오와 로마세력은 폭압적 정복자가 아니다.

“내가 그리도 야만적이고 거만하며 오직 죽음만을 생각하는, 자비심이라고는 전혀 없는 사람이던가? 혹시 내가 피정복민을 그리도 매몰차고 가혹하게 다루는 사람이던가? 누만시아는 나에 대해 너무나 잘못 알고 있었어. 나는 승리 후에 패배자를 용서해주는 사람인데...” (P.114)

누만시아인은 죽음으로써 그들의 대담성과 불굴성을 드러냈지만, 후대 스페인인과 그들은 아무 혈연적 연관성도 없다. 같은 땅에 시대를 달리하여 살았다고 동일한 민족이라고 할 수 없다. 차라리 항복의 치욕을 무릅썼더라면 민족의 삶은 존속되고 후일 재기의 기반을 마련하였을 것이다. 테오헤네스의 절규(P.107)와 누만시아인의 집단자살행위는 인간성의 모짊과 집단 광기를 새삼 상기시켜 전율케 한다.

전자와 달리 <사기꾼 페드로>는 조금 더 익숙한 세르반테스의 모습에 가깝다. 사회 체제와 지배층에 대한 풍자와 비판, 그것은 웃음으로써 경각심을 일깨우는 세르반테스의 주특기가 아니던가?

무엇보다도 주인공 격인 페드로 데 우르데말라스가 흥미로운 인물이다. 그는 사기꾼으로 분명 악당에 속한다. 하지만 그는 결코 미워할 수 없는 속성을 지닌 복합적 유형이다. 피카레스크 소설의 주인공처럼. 그래서 피카레스크 희곡(P.278)으로 불리는 것도 타당성을 지닌다.

페드로가 거친 직업만 열거해도 그의 인생편력을 알 수 있다. 버려진 아이로 시작된 그의 삶은 고아원을 나와 견습 선원, 소매치기, 일꾼, 거짓 사제, 포주, 수송병, 장님 시종, 노새 몰이꾼, 야바위꾼을 거쳐 시장의 보좌관을 하고 있다. 그는 자연스레 세상의 악과 타락에 물들었으나 그의 본성은 선의를 지니고 있다.

“페드로가 비록 사기꾼이긴 해도 부정적으로만 그려지지 않고, 어떠한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낙심하지 않고 항상 새로움을 찾아 나서는, 밉살스럽지 않고 오히려 친근감 있는 낙천적인 인물로 제시”(P.278)되는 것은 바로 페드로가 스페인 민중의 생동하는 자유분방함을 대변하는 인물인데서 연유한다.

그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다. 왕이 되거나, 아니면 수도자나 교황일 될 운을 타고났다고 믿고 시장 보좌관을 그만두고 예언을 좇아 집시의 일원이 된다(P.155). 집시가 되어 벨리카를 만나고 이를 계기로 왕에게 극단을 만들어 줄 것을 요청하여 승낙 받는다. 이제 그는 무대 위에서 꿈꾸던 모든 직분을 다 해볼 수 있게 되었다.

반면 벨리카는 긍정적인 성격 유형이 아니다. 뛰어난 미모를 자랑하지만 집시 신분에서 자신의 출생에 대해 망상을 품고 있다. 후에 비록 우연한 계기로 사실로 드러나지만 그렇지 않다면 이는 분명 망상이다. 그리고 왕족으로 탈바꿈한 후 집시들을 외면하여 자신의 이중성을 적나라하게 표출한다.

이 작품에는 두 가지의 에피소드가 부가되어 있다. 하나는 클레멘테와 클레멘시아의 결혼이며, 파스쿠알과 베니타의 결합이 다른 하나다. 어찌 보면 작품의 큰 줄기와는 무관한 듯하지만, 첫부분의 크레스포 시장의 송사와 함께 모두가 페드로의 재치와 선의를 드러내는 장면이다. 그리고 스페인 민중의 꾸밈없는 소박함을 엿볼 수 있다.

전체적으로 <사기꾼 페드로>는 가볍고 재미있는 희극으로서, 소설 <돈 키호테>의 정신이 여기에 살아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