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마른 물고기
J.H.B. 드생 피에르 지음, 채운정 옮김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2000년 9월
평점 :
절판


원제는 <인도의 초가집[오두막]>이며, 1790년 작이다. 이 책도 후에 출판사를 달리하여 재출간 되었을 때는 <인도의 초가집>이라는 원제로 정정하였다.

생-피에르는 <폴과 비르지니>라는 순결한 애정소설을 대표작으로 남긴 작가로 서양에서는 꽤 유명하다. 물론 국내에서는 아는 이가 별로 없지만. <폴과 비르지니>를 읽기 위한 전초 단계로 이 책을 읽는다. 시중에서는 구판과 신판이 모두 절판 상태이다.

번역자의 약력과 겉표지 상단의 독일어 표기를 통해 이 책이 프랑스어 원전 번역이 아니라 독일어 판본의 번역본임을 알 수 있다. 출판 당시에는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현재는 거의 잊혀진 작품이라고 작품 해설에서 알려주고 있다. 이 경우는 원전이냐 아니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일단 번역하여 출판해 준다는 자체에 무조건 감사를 표해야 마땅하다.

비교적 간단한 구성의 작품이며,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도 명료하다. 영국 왕립 학회에서 진리 탐구를 위하여 파견한 한 철학자가 인도의 최고 브라만 승려를 방문하지만 실망에 싸여 돌아오던 중 폭우를 만나 우연히 몸을 피한 파리아 계급, 즉 불가촉천민의 오두막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담화를 나누다가 진정한 진리와 행복의 길을 깨닫는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작가는 이국 취향[인도]을 배경에 깔고, 인위와 허식을 배격하고 자연과 순수를 예찬하는 정신을 높게 옹호하고 있다. 그가 브라만 승려계급의 아집과 독선, 그리고 허식을 간결하지만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은 이에 바탕을 둔다.

반면, 파리아 계급의 한 남자를 통해 그가 찾고자 한 것, 즉 “어떻게 해야 진리를 구할 수 있는지, 과연 어디서 그 진리를 구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진리를 사람들에게 어떻게 전해야 하는지”(P.37)에 대한 해답을 깨우친다.

“인간은 순수하고도 단순한 마음으로 진리를 찾아야 합니다. 인간은 그 진리를 자연 속에서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찾아낸 그 진리는 오로지 착하고 정직하고 부지런한 사람에게만 말할 일입니다.” (P.129)

파리아 사내는 자신의 타고난 불행을 통해서, 그리고 그가 듣고 본 황제와 귀족들의 자신에 대한 노예가 되는 삶을 통해서 자유롭고 소박한 자연 속 삶의 미덕을 발견하였다.

“저는 그래서 자연보다도 더 현명해지려는 노력은 하지 않았습니다. 자연이 인간에게 정한 법칙을 벗어나는 곳에서는 행복을 찾지 않았죠.” (P.104)

생-피에르가 글에서 주장하는 요지는 대체적으로 동양적 가치관에서 참으로 받아들여지던 것이지만, 이것만이 진리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세련된 사교계의 취향이 당대를 휩쓸던 서구에서는 미지의 신비스런 동양의 것은 감성적 호기심과 아울러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켰을 것이다. 하지만 파리아 사내의 가치관이 보통의 전통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우리에게는 그다지 낯설지 않다. 우리 선조들도 그런 삶을 살아가지 않았던가.

오히려 작가의 도덕적 훈육보다도 성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아름다운 한 편의 동화로 받아들여 가슴을 따뜻하게 하고 흐뭇하게 하는 정서적 진정 효과를 만끽하면 더 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 운정 2011-04-18 1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누군지 정말 글 잘써놨네요